일반적으로 내한성이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유채(B. napus)와 내한성이 강한 산동채(B. campestris)를 공시하여 이들의 발아초기단계에서 각종 stress가 산소분자의 환원과 관련있는 여러 생화학적 인자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작물 내한성 기작을 구명함과 아울러 내한성 관련 genetic marker탐색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바, 1) 발아초기의 peroxidase활성도는 뿌리부위가 배축부위에 비해 3∼4배 정도 더 높았고, 내한성이 강한 산동채가 유채보다 모든 부위에서 약 2배나 더 높은 효소활성도를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도 다소 많았다. 2) 발아초기의 catalase 활성도는 뿌리보다 배축부위가 3∼4배 정도 더 높아 peroxidase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고, 과산화수소 함량은 Catalase 활성도에 거의 반비례하여 뿌리부위가 배측보다 더 높았다. 3) 저온장해는 군위산동채에 비해 내한유채가 더욱 심하였고, 저온처리후 24시간 회복시 내한유채 및 군위산동채의 peroxidase 활동도는 뿌리부위에서 각각 33%와 87%, 배측부위에서 84%와 206%정도 크게 증가하여 군위산동채가 내한유채보다, 배측부위가 뿌리보다 약 2.5배나 더 높은 효소활성 증가율을 보였다. 4) 저온처리후 회복시 superoxide (0₂-)가 급속히 축적되기 시작하여 회복 8시간째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그 축적정도는 군위산동채에 비해 내한유채가 더 심하였고, 24시간 회복시에도 군위동채는 거의 무처리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나 내한유채는 약 38%의 O₂-가 여전히 축적되어 있었다. 5) 장기저온순화시킨 유묘를 저온처리 후 24시간 회복시켰을 경우 내한유채 및 군위산동채의 peroxidase 활성도는 뿌리부위에서 각각 157%와 50%, 배축부위에서는 201%와 250%정도 크게 증가하였고, 배측 및 뿌리부위에서의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 역시 크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배축부위의 단백질 함량도 내한유채는 약 11.4%, 군위산동채는 57.4%증가하였다. 6) 장기저온순화시 생합성되는 peroxidase 동위효소들 중 특히 5번 band(pI 6.4)는 내한유채와 군위산동채의 뿌리부위에서 모두 출현될 뿐만 아니라 내한성이 강한 군위산동채의 배축부위에도 강하게 출현되었다. 7) Esterase 등위효소 pattern에 의해서 유채와 산동채는 각각 5가지, 4가지 유형으로 다양하게 구분되었다. 그러나, Peroxidase에서는 유채중 "IT 134546" 만이 다른 동위효소 pattern을 보였을 뿐 그외는 동일하였다. 8) 공시된 유채 12품종 중 산동채와 거의 유사한 동위효소 pattern을 보였던 "IT 134546"은 군위산동채 외 4개품종과 80% 이상의 밀접한 유연관계를 보였다. 9) 동위효소 pattern분석으로 종간교잡 및 세포융합의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peroxidase 활성도가 내한성이 강한 산동채보다 더 높은 세포융합개체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