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SCIE
1992년도 정기총회 및 제61차 학술발표회 진행순서 및 발표논문초록 ( Program and Abstract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 ; Stress 에 의한 대두 cotyledon 의 isoflavonoid 화합물의 변화
김진태 , 김장억
UCI I410-ECN-0102-2008-520-000746657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SMV에 감수성품종으로 알려진 단경콩과 저항성품종으로 알려진 팔달콩의 cotyledon에 여러 형태의 자극을 처리함으로 유도되는 phytoalexin중 isoflavonoid화합물에 해당되는 aglycone type인 daidzein, genistein 및 glucoside type인 daidzin, genistin의 시간별 변화량을 조사하였다. Soybean extract에서 isoflavonoid화합물인 daidzin, genistin, daidzein, genistein의 분리는 HPLC에서 용출용매로 acetonitrile 및 초순수를 stepwise gradient법으로 분리한 결과 retention time이 14.8, 16.6, 19.6 및 20.8분으로 나타났다. 암조건, 명조건 및 water 처리의 경우 두 품종 모두 초기에 glucoside type인 daidzin, genistin의 양은 감소한 반면 aglycone type인 daidzein, genistein의 양은 증가하였다. UDP-glucose, MgSO₄, HgCl₂ 및 phytopathogen을 처리하였을 경우 isoflavonoid 화합물의 축적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으나 citrate의 처리에 의하여는 aglycone type이 glucoside type보다 증가하였다. UDP-glucose, MgSO₄, HgCl₂의 처리에 의하여 aglycones의 축적은 팔달콩이 단경콩보다 많이 축적되었다. Elicitor의 처리에 의하여 aglycone type인 daidzein과 genistein의 양은 팔달콩에서서 daidzein이 genistein보다 많이 축적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