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5
18.97.14.85
close menu
SCIE
논토양에서 중질소 ( N - 15 ) 를 이용한 표면시용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질소의 행동에 관한 연구
Soil Sciences · Fertilizer : A Study on the Behavior of Surface - Applied Urea with 15N Isotope Dilution Technique in Paddy Soil
이상모(Sang Mo Lee), 류순호(Sun Ho Yoo)
UCI I410-ECN-0102-2008-520-000739832

중질소(N-15)를 추적자로 사용하는 동위원소 희석법(isotope dilu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수도를 pot 재배하면서 중질소로 표지된 요소를 15㎏ N/10a(관행구)와 30㎏ N/10a (배비구) 수준으로 시용한 후 토양과 수도체의 중질소함량을 안정동위원소비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시용한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질소의 수지(balance)를 계산하였다. 수도체 중 시용한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질소가 차지하는 비율(NDFF)은 관행구에서 평균 64%, 배비구에서 평균 89%로서 배비구가 높았으나, 수도체에 의한 시용된 요소의 회수율은 관행구와 배비구가 각각 65.5와 54.2%로서 시용된 요소의 효율은 관행구가 높았다. 시용된 요소 중 토양에 무기태 질소의 형태로 남아있는 잔류율은 관행구와 배비구에서 수도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 각각 13.5% (NH₄-N 5.53%, NO₃-N 7.99%)와 16.5%(NH₄-N 7.49%, NO₃-N 8.98%)이고, 수도를 재배한 경우 각각 2.0%(NH₄-N 0.63%, NO₃-N 1.32%)와 2.3%(NH₄-N 0.87%, NO₃-N 1.40%)로서 수도를 수확한 직후의 토양에서 관행구와 배비구 모두 시용된 요소는 NH₄-N의 형태보다는 NO₃-N의 형태로서의 잔류율이 높았다. 시용된 요소 중 토양에 유기태 질소의 형태로 남아있는 잔류율은 수도를 재배한 경우에는 관행구와 배비구가 각각 23.65와 26.93%로서 비슷하였으나, 수도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 64.98과 41.83%로서 큰 차이가 있었다. 수도체와 토양에 의한 시용된 요소의 전체 회수율은 수도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 관행구 78.5%, 배비구 58.3%이고, 수도를 재배한 경우 관행구 91.1%, 배비구 83.4%로서 시용된 요소의 전체 회수율은 관행구가 높았다(1994년 7월 14일 접수, 1994년 8월 22일 수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