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SCIE
1991년도 정기총회 및 제59차 학술발표회 진행순서 및 발표논문초록 ( Program and Abstract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 - Rm3 - 07 - ; Benzotriazole 계 유도체의 제초활성과 분자설계
임치환 , 박현주 , 박승희 , 성낙도
UCI I410-ECN-0102-2008-520-000741854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Benzotriazole계 유도체들의 정량적인 구조에 따른 벼(Oryzae sativa L., OS) 및 갈피 (Echinochloa crusgalli., EC)에 대한 생장 저해 활성 값(pI_50)과 치환기(X)의 physicochemical parameters로부터 정량적 구조 활성 관계(QSAR)를 검토한 바, 자유라디칼 파라미터(ER)가 매우 중요한 생장 저해 활성의 요인이었다. 일반적으로 생장 저해 활성은 (4, Y=0) 보다 (3, Y=S)이 컸으며 분자설계 결과, EC에 대한 생장 저해 활성은 치환기(X)가 센 전자 끌게(4-NO₂)이고 적정값 (ER=0.52(Y=0)와 0.15(Y=S)을 만족하는 경우에 가장 컸으며 이 사실로부터 benzotriazole계 유도체의 생장 저해 활성은 광합성 반응(PS-II)에서 전자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결과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