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SCIE
1991년도 정기총회 및 제59차 학술발표회 진행순서 및 발표논문초록 ( Program and Abstract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 - Rm2 - 09 - ; Grapefruit 종자추출물 처리에 의한 농축수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저장 효과
이현철 , 주인생 , 서일환 , 조성환
UCI I410-ECN-0102-2008-520-000742240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일정한 연속추출과정 및 장치로 추출 조제한 grapefruit 종자추출물(GFSE)의 항균효과 및 안정성을 토대로 농축수산물 원료 및 그 가공 제품에 GFSE를 처리하여 저장효과를 실험하였다. 일반미생물의 살균실험결과, 대장균을 비롯한 일반 세균의 경우, GFSE의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는 3∼250 ppm이며, Aspergillus속을 비롯한 곰팡이의 경우 125∼1,000 ppm, Candida속을 비롯한 효모의 경우 10∼100 ppm으로 나타났다. 한편, FSE 4,000 ppm 농도수준에서 Aspergillus parasitionus의 생육을 92% 저해하였으며, 500 ppm 농도에서 aflatoxin의 생성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수산물에 부패성 시험균주를 접종하고 GFSE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5℃에서 5일간 저장하고 미생물의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GFSE 무처리구에서는 접종균수의 1.3∼1.8배 증가한 반면, GFSE의 500∼750 ppm 처리농도에서 100% 살균효과를 볼 수 있었다. 탈모 등 일련의 위생처리를 거쳐 냉동보관중인 통닭용 닭을 구입해서 상온에서 GFSE를 처리하여 2일간 방치하면서 부패미생물의 오염정도를 관찰한 결과, 총균수는 무처리구가 9.0×10^7/g, GFSE 1,000 ppm 처리시험구 9.0 × 10²/g으로 나타났으며, 산지에서 수확한 감귤에 GFSE를 처리하여 저장 4주 경과후 무처리구의 경우 원료감귤총수의 53%가 부패곰팡이에 의하여 외피가 오염파손되고 내부의 과육도 연화되었으나 GFSE 250 ppm 농도용액으로 처리한 시험구의 경우 전혀 부패균주의 오염 및 내부조직의 결손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밖의 농축수산물원료 및 가공식품에 대한 GFSE처리 실험 결과, 대장균 및 일반 부패성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를 얻을수 있어 GFSE의 보존제로서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