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유형에 따라 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1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남녀 학생 1340명중 따돌림 유형(피해, 가해, 피해-가해, 정상)별로 471명을 표집하여 자기개념(학업능력, 사회능력, 운동능력, 외모품행, 자기가치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수용, 품행, 자기가치감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가해집단에서 사회적 수용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다시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2에서 새로이 1290명을 표집하여 따돌림 유형에 따라 257명을 선정하여 사회적지지(부모, 급우, 교사, 친한친구 지지)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급우지지와 친한친구 지지에서 가해집단이 높은 접수를 얻었다. 따돌림 가해자의 긍정적으로 지각된 사회적 관계는 공격학생과는 다른 특성으로 논의된다. 또 피해-가해 집단이 가장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들의 결과와 이에 대한 제언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elf dept and social support of children among different types of bullying. In Study I, 1340 students (from 4th to 9th grade) were classified with the 4 bullying types (bully group, victim group, bully-victim group and normal group).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Hatter, 1989) was consisted of 6 subtests, scholastic compet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competence,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global self-worth The bully group had higher score of social acceptance than normal group. In Study 2, the bullies perceived classmate and close friend support more. These were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bullies as compared with aggressive children. The bully-victim group was most vulner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ollowing study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