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1678 - 1865 년간 화폐량과 화폐가치의 추이
Money Supply and Money Value in Korea , 1678 - 1865
이헌창(Hun Chang Lee)
경제사학 27권 3-45(43pages)
UCI I410-ECN-0102-2009-320-008247033

관에서 주조한 동전은 1678-97년간 약 450만 냥, 1731-98년간 500만 냥 이상, 1809-57년간 600만 냥 이상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화폐로서 기능한 동전 총량은 1860년경 1,300만∼l,500만 냥의 범위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전총량을 18세기초 500여 만 냥, 1800년경 900만 냥, 1860년경 1,400만 냥으로 잡으면, 그것은 각각 미곡생산량의 10%, 12%, 13% 정도에 해당하며, 국내총생산에 대한 동전총액의 비중은 18세기 초에 3% 정도로부터 1860년경에는 4% 정도로 상승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말까지는 동전에 대한 신인도의 변화에 따른 유통속도의 변화가 컸기 때문에, 동전가치의 변동이 심하였다. 1710년대부터 1820년대까지는 단지 물가가 안정된 데에 그치지 않고 錢文이 貴한, 이른바 錢荒국면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전황국면이 이처럼 장기간 지속한 것은 동전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그에 상응하게 동전의 공급이 증대하지는 못하고 은화유통이 감소 하였기 때문이다. 1829년부터 신전이 대량으로 공급되면서 전황국면으로부터 벗어났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