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대법원 2023. 12. 7. 선고 2020도15393 판결의 판지(判旨)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 판결의 주요 내용은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당사자 간에 합의가 있는 경우 1주 52시간을 넘는 연장근로만 벌칙의 대상이다. 둘째, 1일 단위의 연장근로는 한계가 없다. 셋째, 연장근로의 시간 계산은 벌칙 적용과 연장근로가산수당 산정에서 다르다. 넷째, 1일 근로시간이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근로기준법 제54조의 방법에 따른 휴게시간을 추가적으로 부여하여야 한다.
대상판결의 내용 중 논란이 되는 것은 근로기준법 제53조 제1항의 ‘1주간 12시간’의 적용단위에 관한 것이다. 대다수 학설은 1주 40시간을 넘는 근로시간의 합산이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비록 1주 52시간이 되지 않더라도 1일 8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의 합이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여기에 해당한다고 보았으나, 대상판결은 1주 40시간을 넘는 시간이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만을 의미한다고 판결했다. 이러한 법 해석은 통상적인 법해석과는 다른 부자연스러운 문리해석이고, 유연근로제 등을 규정한 근로기준법의 다른 규정들과 정합하지 않는다. 더구나 연장근로의 시간 계산은 벌칙 적용과 연장근로가산수당 산정에서 다르다는 법 해석은 명문의 규정에 위반하는 것으로서 연장근로의 억제라는 관련 규정의 목적에 반한다. 이러한 법 해석의 가장 큰 문제는 집중적인 근로로 인해 근로자의 건강이 크게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은 대상판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2021년 행정해석처럼 1일 8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의 합이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도 법 위반으로 해석하거나, 또는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간 휴식(근로일과 근로일 사이에 연속하는 11시간 이상의 휴식시간을 두도록 함)을 도입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on December 7, 2023, Case No. 2020Do1539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s ruling,” and the case in question as the “this case”). The main points of this ruling can be summarized in four rules. First, only overtime exceeding 52 hours per a week is subject to criminal penalty. Second,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overtime hours per a day. Third, the calculation of overtime hours differs in the application of criminal penalty from in the calculation of overtime pay. Fourth, if daily working hours exceed 12 hours, the employer must provide additional rest time to the employee in accordance with Article 54 of the Labor Standards Act.
The contentious issue in the ruling concerns the application of the “12-hour per week” limit in Article 53, Paragraph 1 of the Labor Standards Act. Most academics held that this applies not only when the total working hours exceeding 40 hours per a week exceed 12 hours, but also when the total working hours exceeding 8 hours per a day exceed 12 hours even if the total working hours are less than 52 hours per week. However, the relevant ruling ruled that this only applies when the total working hours exceeding 40 hours per week exceed 12 hours.
The legal interpretation of this ruling is an unnatural literal interpretation that deviates from the usual legal interpretation and is inconsistent with other provisions of the Labor Standards Act that regulate flexible work systems, etc. Moreover, the interpretation that calculating overtime hours is different in the application of penalties and calculating overtime pay deviates from the express provision and runs counter to the purpose of the relevant provisions, which is to suppress overtime work. The biggest problem with this interpretation is that it can seriously threaten workers' health due to intensive work.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target judgment, it is necessary to either interpret it as a violation of the law even if the total of working hours exceeding 8 hours per day exceeds 12 hours, or to introduce a daily rest(a rest period of at least 11 consecutive hours between work days) for all workers through new legi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