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다국적 기업 의사결정에 상대국의 환경규제 엄격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환경오염회피가설의 예측과 다르게 상대국의 환경규제가 엄격할수록 기술 및 제도에 대한 긍정적 유인으로 작용해 해외직접투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높은 수요 탄력성에 직면하면서 유형자산 집약도가 낮은 깨끗한 산업의 경우에는 엄격한 환경규제가 해외직접투자에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개도국에 대한 투자보다 선진국에 대한 투자에서 중요하게 나타났고, 상대국의 환경규제 엄격성을 우리나라 대비 상대적인 엄격성으로 측정한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ringency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host countries affects the investment decisions of Korean multinational enterprises. Contrary to the predictions of the Pollution Haven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at stricter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host countries serve as a positive incentive for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hereby encourag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However, in cleaner industries characterized by low capital intensity and high demand elasticity, stricter environmental regulations act as entry barriers to FDI. These findings are more pronounced in investments targeting developed countries, and they remain robust even when the stringency of host country regulations is measured relative to that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