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기후변화에 대한 보도가 문제 인식과 대응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News Coverage on Issue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Respond
서수정 ( Sujeong Suh ) , 김도현 ( Dohyeon Kim ) , 김헌 ( Hun Kim )
DOI 10.23875/kca.33.3.1

본 연구는 기후변화 보도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 노출 빈도, 관여도가 기후변화인식(현재 영향 및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인식이 다시 대응행동의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차 자료를 활용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도 평가는 기후변화의 현재 영향 인식과 미래 인식 모두에, 관여도는 모든 인식 변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보도 노출 빈도는 기후변화의 현재 영향 인식에는 유의미 했으나 미래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언론 보도가 현재중심으로 구성되고, 미래 정보는 수용자의 심리적 거리감으로 효과가 제한됨을 시사한다. 인식 수준은 대응행동의도에도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문제 인식이 실천동기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론적으로는 문화계발이론의 공명효과와 구성수준이론 기반의 시간적 인식 구분의 유용성을 확인하였고, 실무적으로는 품질 중심 보도 전략, 참여형 콘텐츠, 미래 위협프레이밍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how audience evaluation, exposure frequency, and involvement regarding climate change news influence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current and future awareness), and how such perceptions subsequently affect behavioral intention to respond. Using secondary data provid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news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current and future awareness, while involve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all perception variables. In contrast, exposure frequency was positively associated only with current awareness, but not with future awareness. This suggests that news coverage tends to focus on immediate threats, and that psychological distance may limit the effect of future-oriented information.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were also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s, indicating that issue awareness can serve as a motivational driver for action. Theoretically, the study confirms the resonance effect of cultivation theory and supports the usefulness of temporal perception segmentation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Practically, it highlights the need for high-quality reporting strategies, participatory content formats, and emotional framing of long-term threa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