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조정이론(Akkommodationstheorie)에 대한 요한 잘로모 제믈러의 입장을 고찰한다. 조정이론이란 성서가 신적 진리를 선포할 때, 당시의 청자나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 그들에게 익숙해 있던 특정한 표현 방식이나 종교적 표상이나 당시의 세계상에 어느 정도 조정(調整)했는지에 관한 논의이다. 이것은 성서의 선포 속에 내재된 시대 제약적인 요소가 근대 과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어져야 하는가의 물음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본 논문은 먼저 제믈러의 조정이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던 대표적인 영국의 계몽주의 철학자와 이신론자들의 주장과 이에 대한 제믈러의 입장을 다룬다. 그는 특정한 이신론자를 추종하거나 그들의 주장에 매이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취하면서 자신의 조정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 다음으로 그의 할레 대학 스승이자 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바움가르텐의 조정이론을 다루고, 그의 조정이론을 제믈러가 어떻게 심화 발전시켰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으로 조정이론의 관점에서 그가 생각하는 과학과 성서해석의 문제, 이와 연관된 성서의 비신화화와 기독교의 핵심교리 중의 하나인 종말론과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이해를 고찰한다.
This study examines Johann Salomo Semler’s position on the theory of accommodation (Akkommodationstheorie), one of the central topics of debat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theory addresses how the time-bound elements inherent in biblical proclamation should be evaluated from a modern scientific perspective.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claims of representative British Enlightenment philosophers and deists who indirectly influenced Semler’s understanding of accommodation. Rather than adhering strictly to any particular deist position or becoming bound by their assertions, Semler selectively adopted ideas as needed and developed his own formulation of the theory. Next, the study considers the theory of accommodation as presented by Baumgarten and examines how Semler deepened and advanced it.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Semler’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biblical interpretation, the demythologization of Scripture, and the understanding of eschatology and the Kingdom of God―core doctrines of Christianity―within the framework of accommodation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