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불교 생태학과 생태적 마음챙김 명상
Buddhist Ecology and Ecological Mindfulness Meditation
황종원 ( Hwang Jong-won ) , 김민경 ( Kim Min-kyung )

이 글은 불교의 생태론적 함의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정리하고 재평가하며, 그 내용을 기반으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마음챙김 명상 가운데 자애, 통찰 명상이 생태적 영성을 배양하는 데 어떤 특별한 공헌을 할 수 있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불교는 인간의 탐욕과 편견으로 인한 무지가 생태계 파괴의 주요 원인이라고 보며,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자비심으로 불살생(不殺生)의 계율을 지키고, 연기설(緣起說)을 토대로 삼라만상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면서 호혜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깨달을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불교 생태학은 자비심과 공관(空觀) 사이에 매워지지 않는 이론적 간극이 있으며, 출세간적 성격으로 인해 생태적 노동 양식을 실천적으로 모색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불교의 수행법을 현대화한 마음챙김 명상은 개개인이 생태적 정신을 함양하는 데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음챙김 명상 가운데 생태적 영성을 기르는 데 특히 요긴한 것은 자애 명상과 통찰 명상이다. 자애 명상은 사람의 감성을 정화하여 자기 자신과 이웃, 나아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를 자애의 마음으로 품게 한다. 그리고 통찰 명상은 자기중심적인 생각에 갇혀 있는 사람들이 바라보는 세계가 덧없음을 부단히 일깨우고 만물이 은혜를 주고받는 관계로 얽혀 있음을 깨닫는 이성 정화의 훈련이다. 이러한 생태적 마음챙김 명상은 인간의 이기성을 부추기는 상공업 사회에서 현대인의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고, 나아가 이웃과 생명 세계를 긍휼의 마음으로 바라보게 하며 인간 중심적 생각의 습관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더없이 좋은 마음 훈련의 방법이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and reevaluate the academic discussions on the ecological implications of Buddhism and, based on this, to elucidate how loving-kindness (mettā) and insight meditation (vipassanā) within the globally expanding mindfulness movement can make a unique contribution to cultivating ecological spirituality. Buddhism views ignorance, stemming from human greed and bias, as a primary cause of ecological destruction.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it emphasizes the observance of the precept of non-killing (ahiṃsā) through compassion and the realization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intricately interconnected and exist in a reciprocal relationship, as explained by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pratītyasamutpāda). However, Buddhist ecology has an unresolved theoretical gap between compassion and the doctrine of emptiness (śūnyatā), and due to its transcendental nature, it also has limitations in practically exploring ecological labor practices. Nevertheless, mindfulness meditation, which modernizes Buddhist practices, can significantly aid individuals in fostering ecological consciousness. Among various mindfulness practices, loving-kindness meditation and insight meditation are particularly effective in cultivating ecological spirituality.

1. 머리말
2. 불교의 생태론적 함의
3. 생태적 마음챙김 명상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