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심리상담 영역에도 적용되어 새로운 형태의 정신 건강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AI 심리상담 소프트웨어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사용자가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는 높은 접근성과 익명성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상담 서비스의 한계를 보완하고 심리적 저항을 줄이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울증 환자를 주요 사용자로 설정하고, AI 기반 심리상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을 제안한다. 문헌조사와 USE 4요인 척도에 기반한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해 주요 불편 요소와 니즈를 도출하고,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하여 문제 정의와 해결 방안을 구조화하였다. 이후 사용자 여정 지도와 저충실도 와이어프레임을 설계하고, 핵심 기능 중심의 UI 화면을 시각화하였다. 또한 제안된 디자인에 대해 실제 사용자 및 디자인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UI 구조의 타당성과 개선 방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구조적 UI 설계를 통해, 우울증 환자의 디지털 심리상담 환경에 적합한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its applications are expanding across various domains, including the field of psychological counseling. In particular, AI-based counseling software offers high accessibility and anonymity, allowing users to seek support regardless of time or location. This effectively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face-to-face counseling and helps reduce psychological barriers. This study proposes a user interface (UI) design for an AI-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pplication, with individuals experiencing depression set as the primary user group.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using the USE (Usefulness, Satisfaction, and Ease of Use) framework, the study identified key user pain points and needs. The Double Diamond model was applied to systematically define the problem and derive design solutions. Subsequently, a user journey map and low-fidelity wireframes were created to visualize the core functionality and interaction flow of the proposed UI. To assess th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design, a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with nine participants, including end-users and domain experts. The findings offer a structured UI design strategy grounded in user experience, aiming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digital psychological counseling tools for individuals with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