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환경에서 제한된 화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숨겨진 사용자 인터페이스(Hidden UI)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제스처 기반의 숨겨진 UI는 시각적 복잡성을 줄이는 장점이 있으나, 기능을 인식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혼란과 인지적 부담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숨겨진 UI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구조화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행동 단계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숨겨진 UI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설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설계하였으며, 숨겨진 UI와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관련된 질문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자료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모델은 ‘인지(Perception)-기억 인출(Retrieval)-기대 형성(Expectation)’의 과정을 거치는 ‘의도적 행동’과 ‘우연이나 실수로 인한 행동’, 그리고 ‘사용자의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시한 모델을 바탕으로 숨겨진 UI의 발견 용이성 측면, 사용성 측면, 그리고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권장사항을 통해 사용자 경험에 대한 예시를 제공하여 모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무 설계에 적용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In mobile environments, the use of hidden user interfaces(Hidden UI) is increasing to efficiently utilize limited screen space. Gesture-based hidden UIs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visual complexity, but they can also cause confusion and cognitive burden for users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using functions. This study aims to structure the user experience of hidden UIs and to propose a user behavior stage model, as well as to suggest design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of hidden UIs. To this e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designed, 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tasks related to hidden UIs was observed. User experiences were documented and analyzed through related questions. The resulting model consists of ‘intentional actions’ that go through the stages of perception, retrieval, and expectation, as well as ‘accidental or mistaken actions’ and ‘user feedback’. In addition, based on the proposed model, examples of user experiences are provided through design recommendations in terms of discoverability,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improvement, helping to understand the model and offering insights applicable to practical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