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도덕 판단에 관한 그린(J. Greene)의 이중과정 모형을 베이즈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린은 감정과 인지 간의 구조적 이분법에 기초해, 도덕 판단이 두 심리적 시스템 간의 경쟁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이에 반해 본 논문은 최근 계산신경과학의 발전, 특히 예측 코딩(predictive coding), 활성 추론(active inference), 그리고 감정에 대한 구성주의(constructionist) 이론들을 바탕으로 감정과 인지 모두가 신체 및 환경적 정보에 대한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는 단일한 추론 시스템에서 도출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베이즈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감정과 인지의 기능적 분화는 단일한 예측 처리 시스템의 맥락적 표현일 수 있으며, 이는 반드시 뇌의 구조적 이중성을 함의하지는 않는다. 도덕 판단을 단일한 베이즈주의적 틀에서 재구성함으로써, 이 논문은 이성 대 감정이라는 전통적 이분법을 해체하고 도덕 인지를 예측 기반의 적응 과정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이론적 전환은 신경윤리학과 도덕 심리학 모두에 중요한 함의를 가지며, 정태적인 이중과정 모형보다 이론적 설명력과 통합성을 갖춘 대안적 접근을 제시한다.
This paper offers a Bayesian critique of Joshua Greene’s dual-process model of moral judgment, which implicitly posits a structural division between emotional and cognitive systems. Drawing on recent developments in computational neuroscience, particularly predictive coding, active inference, and constructionist theories of emotion, I argue that both emotional and cognitive functions emerge from a unified inferential system that minimizes prediction error across bodily and environmental domains. This view suggests that the functional duality observed in emotional and cognitive moral judgments does not necessarily imply a structural dualism in the brain’s computational system. Reframing moral judgment within a monolithic Bayesian framework dissolves traditional dichotomies such as reason versus emotion, and reconceives moral judgment as an embodied, context-sensitive process of predictive adaptation. This shif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neuroethics and moral psychology, inviting a move beyond static dual process models toward a dynamic, integrative account of moral judg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