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찰관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구조적이고 예방 중심의 정책적 접근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경찰의 정신건강 지원정책을 미국, 영국, 캐나다의 사례와 비교ㆍ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Gilbert와 Terrell(2012)의 사회복지정책 분석틀(할당, 급여, 전달체계, 재정)을 적용하고, 직무 요구-자원 이론(JD-R), 회복 탄력성 이론, 사회적 지지 이론을 이론적 틀로 설정하여 문헌 분석 및 사례비교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은 사후 대응 중심, 제한적 서비스 제공, 경직된 전달체계, 재정 및 인력 부족, 정신건강 낙인 등 다수의 구조적 한계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예방 중심 개입 확대, 회복탄력성 기반 교육 프로그램 도입, 동료 및 가족지지 강화, 디지털 접근성 향상, 민관 협력 활성화 등의 정책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과 분석틀의 구조적 연계를 통해 학문적 정합성과 실천적 타당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국내 경찰 정신건강 정책의 구조적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y improvements for supporting the mental health of police officers in South Korea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exemplary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The study applies Gilbert and Terrell’s (2012) social welfare policy framework―allocation, benefit, delivery system, and finance―and integrates three theoretical foundations: the Job Demands-Resources (JD-R) theory, resilience theory, and social support theor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structural limitations in South Korea’s current policy, such as reactive service delivery, narrow beneficiary scope, centralized implementation, limited funding and personnel, and persistent stigma.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a shift toward preventive interventions, resilience-based education programs, enhanced peer and family support systems, improved digital accessibility, and expanded public-private partnerships. By structurally linking theory, analytical framework, and policy recommend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both the theoretical discourse and practical advancement of sustainable and effective police mental health polici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