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교제폭력 사건에서 피해자 성별과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범죄 심각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압적 통제’ 도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Victim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on the Crime Seriousnes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Coercive Control
한예담 ( Han Yedam ) , 조은경 ( Jo Eunkyung )
DOI 10.24055/kaps.27.3.3

과거에 비해 교제폭력을 중범죄로 인식하는 경향은 증가했으나, 통제행동과 같은 비신체적 폭력이나 피해자가 남성인 사건에 대해서는 여전히 범죄 심각성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피해자의 성별과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교제폭력 사건에 대한 범죄 심각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강압적 통제’ 도식(schema)을 통해 이러한 영향이 조절될 수 있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성인 183명은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에 응답한 뒤, 2(피해자 성별: 남성, 여성) × 2(강압적 통제 관련 설명문: 없음, 있음)의 참가자 간 설계 온라인 실험에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할당된 조건에 따라 피해자 성별을 달리한 교제폭력 시나리오를 읽고 범죄 심각성 인식 문항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한 교제폭력상황에서 여성 피해자보다 남성 피해자인 경우 범죄 심각성을 더 낮게 평가하였고,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강할수록 교제폭력의 심각성을 낮게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강압적 통제 관련 도식은 피해자 성별과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범죄 심각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그리고 향후 교제폭력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lthough the tendency to perceive dating violence as a serious crime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non-physical forms of violence such as controlling behaviors, as well as cases involving male victims, continue to be perceived as relatively less seriou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victim’s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on the crime seriousnes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nd investigated whether these perceptions could be moderated through the coercive control schema. A total of 183 adults participated in an online experiment. After completing a measure of ambivalent sexism,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conditions in a 2 (victim gender: male vs. female) × 2 (coercive control explanation: absent vs. present) factorial design. Depending on the assigned condition, participants read dating violence scenario featuring either a male or female victim, and then assessed the seriousness of the case on a 7-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same dating violence scenario was presented, participants rated the situation as less serious when the victim was male than when the victim was female. Moreover, higher levels of ambivalent sexism were associated with lower perceived seriousness of dating violence. The coercive control explanation, however, did not moderate the effects of victim gender or ambivalent sexism on perceived seriousn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dating violen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