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교육은 중국인민군대 군사 교육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전쟁 시기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외국어에 능통한 군사 인재를 양성하여 군대에서 외국어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했다. 1950년 6·25전쟁이 발생한 후, 중국인에 있어서 한반도 전장에서 필요한 조선어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급선무가 되었다. 따라서 중국인민군대에서는 병사들이 조선어를 조금이나마 할 수 있게끔 병사들에게 조선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기에 맞물려서 중국인민군대에서 각종 조선어 교재를 제작하였는데 그 중의 하나는 바로 『상용조선어수첩』이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에서 개인소장하고 있는 『상용조선어수첩』 필사본을 대상으로 문헌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첩』의 전체적인 상황, 제작 규범, 수록 내용 등을 탐구함으로써 그 제작 목적을 밝히고 6·25전쟁 시기에 한반도 전장에서 중국인민지원군이 조선어를 학습하는 교재로서 중국의 조선어(한국어) 교육 역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중국 개인소장 『수첩』 필사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수첩』의 제작 의도는 한반도 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수요, 후방 전투를 위한 수요 및 사상 선전을 위한 수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6.25 시기에 한반도 전장에서 이 교재를 제작한 것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필사본의 발견은 또한 중국 군대의 외국어 교육 상황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국내 조선(한국)어 교육의 새 역사를 열고 한국 학자의 연구 결과를 바로잡는 데 의미가 있다. 『수첩』 필사본을 통해서 이 교재에 지역 특색 어휘가 섞어져 있고 한글 표기법에 맞지 않은 표현이 많이 보이며 존대법과 하대법을 사용하는 양상을 알 수 있다.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military education in the Chinese People's Army, and from the time of war to the present, numerous military talents who are fluent in foreign languages have been nurtured so that they can fully play the role of foreign languages in the military during war and in peaceful times. After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it became an urgent priority for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to cultivate necessary Korean language talents in North Korea and on the battlefield on the Korean Peninsula. Around this time, the Chinese People's Army began teaching Korean to soldiers so that they could speak a little Korean on foreign battlefields. At this time, the Chinese People's Army produced various Korean language textbooks, one of which is the 『Frequently Used Korean Language Notebook』, which was intended to be covered in this paper. This paper explores the overall situation, production norms, and contents of the Notebook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for the manuscript of the frequently used Korean Language Handbook, which is privately owned in China, and reveals that the purpose of production is to adapt to local life, demand for rear operations, and demand for ideological propaganda, and re-examine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the Notebook as a textbook for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on the battlefield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Korean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