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에 영업이익 중간 소계를 표시하고 경영자가 정의한 성과측정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재무제표 주석에 반영하는 내용을 담은 IFRS 18(또는 K-IFRS 1118호)은 2027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다른 국가와 다르게 한국은 K-IFRS를 도입하면서 전통적으로 측정된 영업이익을 손익계산서에 보고해 왔다는 점에서, IFRS 18이 한국에 적용됐을 때 증분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IFRS 18 영업이익이 현행 K-IFRS 제1001호 영업이익보다 더 큰 이익-수익률 관련성을 보일 수 있는지를 예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두 가지 유형의 영업이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ERC)를 측정 및 비교한다.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FRS 18 영업이익 ERC는 대부분 유의한 양(+)의 값이 관측되었으나, 현행 K-IFRS 영업이익 ERC는 음(-) 또는 영(0)의 값이 관측되었다. ERC 차이 비교한 결과, IFRS 18 영업이익은 현행 K-IFRS 영업이익 보다 더 큰 이익반응계수를 나타냈고, 연결재무제표와 개별재무제표 측정 기준에서 모두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IFRS 18 영업이익 ERC는 무형자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표본이 작은 표본보다 유의하게 큰 양(+)의 값이 관측되었다. 그러나 현행 K-IFRS 영업이익 ERC는 무형자산 비중이 큰 표본이 작은 표본보다 더 작은 값을 나타냈고 일부는 음(-)의 값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IFRS 18 영업이익이 적어도 현행 K-IFRS 영업이익보다 더 관련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무형자산 비중이 큰 기업에서 초과이익모형을 이용한 가치평가 유용성을 증진할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IFRS 18 도입에 따른 효익과 이행비용에 대한 논쟁을 완화하고, IFRS 18이 투자자의 가치평가 유용성을 개선할 잠재력이 있다는 예비적 증거를 제공하고 있다.
IFRS 18(or K-IFRS 1118), which requires operating income to be explicitly presented in the income statement and detailed explanations of performance measures defined by management to be reflected in the notes to the financial statements, i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from January 2027. Unlike other countries, Korea has traditionally reported operating income in the income statement even after the introduction of K-IFRS, so there is market skepticism about whether IFRS 18 will have incremental effects when applie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measures and compares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for two types of operating income to preliminarily assess whether IFRS 18 operating income can show greater value relevance than the current K-IFRS 1001 operating incom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RS 18 operating income showed a positive value with a large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than K-IFRS 1001 operating income. Second,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for IFRS 18 operating income (K-IFRS operating income) showed greater (smaller) sensitivity in companies with a large proportion of intangible ass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perating income reported by traditional IFRS 18 can at least show greater value relevance than the current K-IFRS operating income, and that the usefulness of valuation using the residual income model is likely to be improved, especially for firms with a large proportion of intangible ass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alleviate the debate over the benefits and implementation costs of adopting IFR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usefulness of investor 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