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윤리적 갈등 경험한 경력놀이치료자의 윤리적 의사결정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놀이치료자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영역, 22개 범주 중 3개 범주에서 3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영역 1에서는 비성적 다중관계 및 치료적 경계 혼란, 전문적 책임 및 역량, 법적 책임, 비밀보장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윤리적 갈등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영역 2에서는 경력 놀이치료사가 윤리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내담자의 안녕과 복지, 치료 관계, 윤리 원칙 및 규정, 치료자 보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 3에서는 소속 기관장, 내담 아동 및 보호자, 수퍼바이저 및 동료와의 논의, 그리고 개인적인 판단을 통해 윤리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역 4에서는 환경요인, 놀이치료자 요인, 비협조적인 내담자 및 보호자 등이 의사결정을 어렵게 만드는 방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역 5에서는 이전 의사결정에 대한 평가 및 대안 마련, 놀이치료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통찰, 윤리적 갈등 상황의 다양한 맥락을 인식, 윤리규정이 설립된 목적에 대한 이해의 확장 등 네 가지 범주가 포함되었다. 영역 6에서는 윤리적 의사결정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지침 마련, 윤리적인 상담을 위한 자기점검, 윤리적 갈등 예방을 위한 사전 구조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실제 윤리적 판단 과정을 조망하고, 윤리 교육 및 제도적 지원 방향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thical decision-making experiences among experienced play therapists who have encountered ethical dilemma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experienced play therapists and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CQR). The analysis resulted in 6 domains, 22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Our results indicate that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four situations in which ethical conflicts were experienced (e.g. non-sexual dual relationships and therapeutic boundary confusion’,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nd competence’, ‘legal responsibilities’, and ‘confidentiality.). The study’s results confirmed the factors considered and obstacles encountered by experienced play therapists in their ethical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identified the subjects discussed during these processes. In addition, the examination of therapists’ reflections on ethical decision-making conducted here can serve as a useful means for broadening ours insights into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umber of possible strategies to support the ethical decision-making of play therapists and implications for their ethical education were also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