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 세계적인 필요성 속에서 녹색 기술 혁신은 경제적 및 환경적 목표를 조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부상하였다. 본 연구는 녹색기술혁신역량(GTIC)과 기업가치를 연결하는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하여 혼합접근방법, 특히 기업이익의 매개효과에 중점을 두었다.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검토하여, 녹색특허출원 및 R&D 집약도를 포함한 다차원 지표를 통해 GTIC를 엄격하게 운영하면서, Tobin Q를 이용하여 기업가치를 측정하였다. 2009-2023에 걸친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이익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고, 기업규모, 부채대비자산비율 및 산업특성을 통제하는 계량경제학 모델을 구축하였다. 주성분 분석은 GTIC 차원을 종합하고, 그 후 강건성 검사를 통한 계층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GTIC와 기업가치 간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기업이익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성 이론에 대한 중요한 실증적 지지를 제공하였으며, 기업의 녹색전략수립을 위한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하였다.
In the context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green technology innovation (GTI) has become crucial for corporate sustainability. This paper explores how GTI influences corporate value and the mediating role of corporate returns based on theories of ecological moderniz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stakeholder theor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y analyzing data from listed companies between 2009 and 2023, a regression model is constructed using bot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o test these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GTI significantly enhances corporate value, boosts competitiveness, optimizes resource allocation, and increases corporate returns through efficiency improvements and cost reductions. Corporate returns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is process, with the effect being more pronounced in industries with strong policy support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companies strengthen their green R&D teams, increase investment in green technologies, and enhance environmental governanc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TI and corporate value, and future research could investigate the impact differences across different industries and company sizes, further refining guidance for green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