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으로 토마스 아퀴나스는 가톨릭교회의 동성애 정죄를 뒷받침하는 주된 신학자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지난 20여 년 동안, 이 문제에 관한 그의 텍스트 해석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쟁이 전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특정 구절을 선택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아퀴나스의 보다 포괄적인 관점이 간과되어 왔음을 지적하며, 그의 저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동성애에 대한 그의 이해를 재구성하려고 시도한다.
아퀴나스가 동성 간 성행위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구절들에서는 그가 당대의 지배적 신학 입장을 반영하여 이러한 행위를 “인간 종(species)의 본성에 반하는 악습(vice against nature)” 또는 “치명적 죄(mortal sin)”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저작을 포괄적으로 읽어보면, 동성애에 관한 그의 논의가 당대의 지배적 신학적 입장을 넘어서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아퀴나스는 인간 본성을 종 차원(species level)과 개인 차원(individual level)으로 구분하며, 어떤 성향이 종의 본성에는 부합하지 않더라도 그런 성향을 타고난 특정 개인에게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둘째, 『니코마코스 윤리학 주해』에서 아퀴나스는, 남성 간 성행위가 종 차원의 인간 본성에 반하지만, 그 기원은 일부 개인에게서는 선천적 성향에서, 또 다른 개인에게는 어린 시절에 형성된 습관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특별한 비판 없이 서술한다. 셋째, 아퀴나스의 자연법 개념은 상당한 유연성을 지니고 있어, 역사적ㆍ문화적 변화에 따라 법적 규범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본 연구는 아퀴나스가 동성애를 명시적으로 긍정하였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인간 본성과 자연법에 대한 이해가 교회의 전통적 견해를 재고할 여지를 남겨놓는다고 논증한다. 특히 동성애 성향이 선천적일 때 그 성향을 선천적으로 폭력이나 절도와 같은 성향을 타고난 것에 빗대어 도덕적 무질서에 해당한다고 전제하지 않는 한 그러하다. 이러한 관점에 비추어 보면, 아퀴나스의 사상은 인간의 성에 관한 현대 연구 성과들이 제기하는 도전에 비판적이고 열린 태도로 응답할 수 있도록 초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Traditionally, Thomas Aquinas has been regarded as a principal theological authority supporting the Catholic Church’s condemnation of homosexuality. In the past two decades, however, scholarly debates have arisen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his texts on this issue. This article identifies a tendency within existing scholarship to selectively emphasize particular passages while neglecting Aquinas’s comprehensive perspective.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his works, it seeks to reconstruct his conception of “homosexuality” within its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
In the passages where Aquinas explicitly addresses same-sex sexual acts, he reflects the prevailing theological stance of his time, categorizing such acts as a “vice against nature” (with respect to the nature of the human species) or as “mortal sin.” Yet a comprehensive reading of his corpus suggests that his conception of “homosexuality” may transcend the dominant theological framework of the period. First, Aquinas distinguishes between human nature at the species level and human nature at the individual level, allowing that what is unnatural to the species may nonetheless be natural to particular individuals. Second, in his Commentary on the Nicomachean Ethics, Aquinas presents Aristotle’s view without particular criticism: although male same-sex acts are contrary to human nature at the species level, their origins may lie in innate dispositions in some individuals and in habits formed during early childhood in others. Third, his conception of natural law demonstrates notable flexibility, recognizing that legal precepts may be added or omitted in response to historical and cultural change.
This study does not claim that Aquinas explicitly affirmed homosexuality. Rather, it argues that hi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 creates a space for reconsidering the Church’s traditional view, particularly in cases where such inclinations are innate and are not presumed to be morally disordered in the same way that tendencies toward violence or theft are. In light of these considerations, Thomas Aquinas’s thought appears to invite a critical and open engagement with the challenges posed by contemporary research findings on the homosex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