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고령운전자의 운전중단 계획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How Older Drivers Plan for Driving Cessation
최문정 ( Choi Moon Jeong ) , 강동훈 ( Kang Donghun ) , 고은정 ( Ko Eunjeong ) , 나지혜 ( Na Jihye ) , 손의범 ( Sohn Euibeom ) , 김석희 ( Kim Seok Hee ) , 이다솜 ( Lee Dasom ) , 이재길 ( Lee Jae-gil ) , 장기태 ( Jang Kitae )
장기요양연구 13권 1호 105-122(18pages)
DOI 10.32928/TJLTC.13.1.5

개인 자가용은 독립성과 편의를 제공하지만, 노년기 운전중단 시 거주지역에 따라 독립적인 이동수단 상실로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교통사고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데 집중한 반면,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의 운전중단 계획 유무, 방식, 시기 및 이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건강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에서 현재 운전 중인 고령자 대상 설문(N=109, 평균 연령 74.9세, 여성 17.4%) 결과, 약 1/3이 중단계획이 있으며 이들 중 대다수가 5년 이내 중단할 계획이라고 응답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등학교 졸업자는 대학 졸업자 대비 계획 가능성이 76% 낮고, 근거리 시력 저하는 계획 가능성이 2.7배 높았다. 또한, 계획자 중 절반은 자진반납 대신 면허갱신을 안 하거나 면허를 유지하되 운전을 안 하는 수동적인 중단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운전자의 운전중단 계획이 교육 수준과 체감하는 시력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정책 입안자들은 고령운전자가 자신의 운전능력을 정확하게 평가받고 시의적절하게 운전중단을 준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개인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정보 제공 및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면허 자진반납 대신 수동적인 중단 계획이 우세한 점을 고려하여, 운전중단 후에도 이동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초고령사회에 적합한 대체 교통수단 지원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Driving private vehicles provide independence and convenience in everyday life. However, depending on the area of residence, driving cessation in later life can negatively impact the quality of life by removing an independent mode of transportation. Previous research on older drivers has primarily focused on identifying risk factors for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older drivers plan to stop driving and how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influence this planning.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person surveys of currently active older drivers in the Daejeon Metropolitan area (N=109, average age=74.9 years, 17.4%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study participants reported having a plan to stop driving, with most planning to do within five yea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school diploma were about 75% less likely to plan for driving cessation compared to those with a college degree. Additionally, those with low near vision were about 2.7 times more likely to plan for driving cessatio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Notably, a half of the older drivers who had plans to stop driving intended to do so passively-for example, by ceasing to drive while retaining their driver’s licenses or by not renewing their licenses upon expiration-rather than voluntarily surrendering their licen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level and perceived low near vision are associated with driving cessation planning. Accordingly, policy makers should develop and provide appropriate, personalized education and accurate information to help older drivers assess their driving abilities and prepare for driving cessation in a timely manner. Furthermore, the preference for a passive approach to driving cessation highlights the need to offer alternative transportation support for older adults after they stop driving, particularly in a super-aged societ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