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북당에 대한 인조 정권의 가혹한 정치 탄압 속에서도 그 생명을 보존했던 해주정씨의 대표적인 인물인 정승(鄭勝, 1579~1632)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정승은 인조반정(1623) 당시 행호군(行護軍)의 직책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괄의 난(1624) 때에는 인조를 공주까지 호위하며 자신의 직분을 묵묵히 수행했다. 인조는 이러한 정승을 오위장(五衛將)에 임명했으며, 공주에서 서울로 돌아온 후 2품 첨지중추부사에 임명했다. 정승에 대한 인조의 굳건한 신뢰, 이것이 정승이 정문부와 달리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공신과 역적에 대한 평가는 당대 기록의 변조와 멸실의 상황, 그리고 ‘역적’이라는 인식의 프레임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This paper specifically examines the case of Jeong Seung (1579-1632), a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Haeju Jeong clan who preserved his life even during the harsh political oppression of the Injo regime against the Bukdang
Jeong Seung seems to have held the position of Haenghogun (行護軍) during the Injo Restoration (1623), and silently performed his duties while escorting Injo to Gongju during the Yi Gwal Rebellion (1624). Injo appointed Jeong Seung as Owijang (五衛將), and after returning from Gongju to Seoul, he appointed him as a 2nd-rank Cheomjijungchubusa.
Injo’s firm trust in Jeong Seung is the reason Jeong Seung was able to survive without dying, unlike Jeong Mun-bu. It should also be kept in mind that the evaluation of meritorious subjects and traitors is influenced by the situation of falsification and destruction of contemporary records, as well as the frame of perception of tra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