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히틀러 유겐트가 본 1940년 식민지 조선
A Study of Colonial Joseon in 1940 through Hitlerjugend’s viewpoint
주성지 ( Joo Sung-jee )
DOI 10.19162/KNM.122.2025.3.06

본고는 나치 독일의 전국적인 청소년 조직인 히틀러 유겐트가 1940년 조선을 방문사실을 소개하고자 작성되었다. 이들은 1938년 처음으로 극동 일본을 방문하고, 1940년 만주와 조선을 경유하여 일본을 방문하였다. 이들 일행의 방문은 방공협정과 삼국동맹 이후 추축국간의 교류 확대차원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들 일행의 1940년 조선 방문에 대해서는 국내에 소개된 바 없다. 이에 따라 본고의 작성 목적은 첫 번째 이들 일행이 극동지역을 방문한 과정을 상세하게 밝히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추축국으로서 나치 독일과 일제와의 교류협력의 단편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방문일정을 조사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1938년일본방문의 전례가 1940년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마지막은 1930년대 외빈의 방문을 조사하여 이들의 방문일정과 대비하고, 일제가 외빈들에게 조선을 어떻게 ‘보여주고 싶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제의 식민지 조선이 외부에 어떻게 ‘보여졌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외빈들에게 ‘보여진’ 관광 일정이 히틀러 유겐트에게도 어떻게 투영되었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결국 일제에 의해 외빈들에게 ‘보여진’ 식민지 조선은 스스로를 보여준 것이 아니라 의도를 갖고 보여짐을 당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보여진’ 것은 조선에 대한 홍보라기 보다는 식민지경영 주체가 스스로를 홍보하는 정치적 프로파간다였다. 또한 전시체제 속에서 식민지 조선이 갖는 병참(兵站)과 총후(銃後)의 기능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전시 프로파간다이다. 이를 위해 식민지 조선은 소비되었을 뿐이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introduce Hitlerjugend, the national youth organization in Nazi Germany, that visited Joseon in 1940. They visited Japan in the Far East in 1938 for the first time and again via Manchuria and Joseon in 1940. The party’s visits were to expand exchanges among the Axis powers after the Anti-Comintern Pact and the Triple Alliance. However, there has been no introduction of their visit to Joseon, Korea in 1940. Thus, the first goal of the study was to examine in detail their visit process in the Far East region. This process would help to understand some aspects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Nazi Germany and the Japanese Empire as two Axis powers. The second goal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visit schedules between Japan and colonial Joseon to examine how the precedent of the visit to Japan in 1938 was applied in 1940. Finally, the study aimed to examine important foreign visits from guests in the 1930s, compare their visit schedules with those in Joseon, and figure out how the Japanese Empire wanted to show Joseon to them, understanding how colonial Joseon under Japanese rule was perceived by the outside world. In other words, it would show how the sightseeing schedules seen by the important foreign guests were projected on Hitlerjugend. This process demonstrates that colonial Joseon was shown to important foreign guests by the Japanese Empire with an intention of presentation rather than showing Joseon itself. What was shown this way was political propaganda for the subject of colony management to promote itself rather than Joseon. It was also war propaganda to inform the world of colonial Joseon’s functions in logistics and the home front under the wartime regime. Colonial Joseon was consumed with these intentions.

Ⅰ. 머리말
Ⅱ. 1938년 히틀러 유겐트의 일본 방문
Ⅲ. 1940년 히틀러 유겐트 지도자 일행의 식민지 조선 방문
Ⅳ. ‘보여지는’ 식민지 조선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