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가상 아이돌의 팬이 서사의 중심이 되는 소설을 ‘팬덤 소설’로 정의하고, 팬덤소설의 환상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실존하는 아이돌이 중심인 서사물은 하위문화자본의 일환으로 팬픽, 팬 소설, RPS 등의 이름으로 연구되고 있다. 2016년 이후, 기존의 경향에서 벗어나 가상의 아이돌 팬을 중심으로 삼은 소설들이 출판되기 시작하여, 2020년대에 이르러서까지 창작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소설들을 장르적 특성과 함께 고찰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아이돌 문화를 소재로 한 대중 서사는 실존하지 않는 아이돌의 팬이 주인공이 되거나, 그러한 아이돌이 주인공이 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중 ‘팬덤 소설’은 전자에 속한다.
후자와의 차별성은 ‘환상성’에 있다. 후자의 경우, 팬과 아이돌의 관계에서 파생하는 환상성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팬덤 소설의 환상성은 심리적 환상과 공간적 환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심리적 환상은 작중인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추상적이고 내면적 환상의 영역과 관련을 맺는다. 반면, 공간적 환상은 작중인물이 위치한 물리적이고 외면적인 환상의 영역을 구축하며, 이것은 리얼리즘 기반의 현실 공간과 판타지적 비현실의 공간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팬덤 소설의 환상성의 특징을 밝힌 후, 박사랑의 장편소설 『우주를 담아줘』를 중심 텍스트로 삼아 팬덤 소설의 서사적 특징을 살폈다.
이와 같은 논의 과정을 통해, 팬덤 소설의 발생 과정을 살피고, 소설의 서사적 특성은 환상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팬덤 문화와 환상성의 유기적 결합은 하위문화가 향유해 온 서사가 대중 서사화되는 과정과 관련 있음을 밝혀냈다.
This paper defines a novel where fans of virtual idols take the narrative center as “fandom novels” and aims to analyze the element of fantasy within them. Narratives centered on real-life idols have been explored under subcultural studies with terms like fanfiction, fan novels, and RPS (Real Person Slash). However, since 2016, there has been a shift from these existing trends to novels focusing on fans of fictional idols, with this genre continuing into the 2020s. Despite its emergence, research specifically examining or categorizing these novels remains sparse.
Popular narratives featuring idol culture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ose where the fan of a non-existent idol takes the lead, and those where the idol themselves is the protagonist. Fandom novels belong to the former category. The distinction from the latter lies in their “fantastic quality.” In narratives about idols, the fantasy stemming from the fan-idol relationship is absent. Fandom novels, on the other hand, exhibit fantasy, which can be analyzed through psychological and spatial dimensions. Psychological fantasy pertains to abstract, internal realms shaped by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Spatial fantasy constructs physical, external realms, which can be further divided into realistic spaces grounded in realism and fantastical, unreal spaces.
This paper examines these characteristics of fantasy within fandom novels, with Park Sa-rang's full-length novel, Hold the Universe, as the primary text. Through this discussion, the paper traces the origins of fandom novels and confirms that their narrative features are grounded in fantasy. Furthermore, it reveals that the organic fusion of fandom culture and fantasy is tied to the process by which subcultural narratives are transformed into mainstream storyt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