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회는 전통적인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 및 쇄신하기 위한 민주적 혁신의 대표적인 유형이다. 그중에서도 아일랜드 시민의회(Irish Citizens’ Assembly)는 학계-시민사회 차원의 파일럿 프로젝트로 출발한 이후 2012년부터 2023년까지 6차에 걸쳐 정부와 의회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운영되어, 아일랜드 정치과정 내에 준상설화된 숙의민주주의적 혁신 기제로 자리 잡았다. 아일랜드 시민의회는 시민대표와 정당대표의 공동 숙의 가능성, 1년 이상의 밀도 있는 숙의 과정, 국민투표와의 결합으로 동성결혼 합법화와 낙태 허용 등 첨예한 사회문화적 의제에 대한 헌법 개정 성공 등 괄목할 만한 특징과 성취를 보였다. 이 논문은 아일랜드 시민의회의 역사적·정치적 맥락, 제도 설계, 실행 과정, 결과와 효과성 등 여러 측면을 체계적으로 소개 및 토론한다. 이 과정에서 표준적 대의민주주의 보완 기제의 측면과 시민 주도의 대안적 혁신 기제 사이에서 아일랜드 시민의회가 어떤 특징을 보였는지, 그리고 숙의민주주의 제도로서 아일랜드 시민의회가 실제로 어떤 특징과 잠재력을 보였는지를 규명한다.
The Citizens’ Assembly is a prominent form of democratic innovations that aims to remedy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form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Irish Citizens’ Assembly (ICA), which originally emerged as an academy-driven pilot project, has evolved into a semi-permanent mechanism for democratic innovation. Functioning as a formal channel for deliberative policy-making organized by the Irish government and Parliament from 2012 to 2023, it has proven to be a valuable case for a new approach to democratic innovations following the ‘systemic turn’ of deliberative democracy.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ICA include co-deliberation between randomly selected citizens and party representatives, a long-term and intensive deliberative process, and the success in achieving constitutional reforms through referendums on highly controversial issues such as same-sex marriage and abortion rights. This paper provides a systemic analysis of the ICA, focusing on its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institutional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final outcomes and achievements. In particular, it explores two key questions: (1) Between functioning as a supplementary mechanism for standard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as an alternative, citizen-led democratic innovation, what features has the ICA demonstrated? (2) What potential and limitations has the ICA revealed as a deliberative democratic in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