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의료적 서사의 공동 창조: 「이중 작가 초롱」의 이중 재현과 환자-의료인 서사
The Co-Creation of Medical Narratives: Double Representation in ‘Double Writer Chorong’ and Patient-Clinician Narratives
김준혁 ( Kim Junhewk )
인문학연구 62권 69-102(34pages)
DOI 10.35559/TJOH.62.3

본 논문은 이미상의 작품 「이중 작가 초롱」을 매개로, 의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서사의 공동 창조’ 개념을 탐구한다. 작품에서 “초롱”의 서사는 동일한 내용을 이중 재현한 결과물이 “잘못” 만난 상황을 보이며, 논문은 이것이 건강과 질병을 둘러싼 의사와 환자의 재현 방식에서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의료인은 과학적, 생의학적 방식을 통해 질환을 객관화·표준화하고, 환자는 자신의 주관적 체험과 정서적 의미를 바탕으로 질환을 이해한다. 이 두 서사 형식은 임상 진단과 환자 경험 사이의 간극을 드러내며, 이 간극을 어떻게 연결할 것이 문제가 된다. 의료적 맥락에서 현재까지 생의학 모형은 질병 진단과 치료에 탁월한 효용성을 보여 왔지만, 환자의 개인적·심리적 차원을 소외시킨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반면 환자 서사는 고통의 내밀한 의미를 풍부하게 드러내면서도, 의료 커뮤니케이션에서 요구되는 명료한 정보 전달에 한계를 갖는다. 결국 핵심 쟁점은 어느 한쪽이 진실인가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두 서사의 상보적 가치를 인정하여 공동 창조의 장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본 논문은 서사의학적 접근을 통해, 임상 진료와 환자 경험을 결합시키는 방법론으로서 서사의 공동 창조가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환자와 의료인은 사실상 항상 서사를 함께 생산해 왔지만, 그 과정에서 병리생리학적 정보와 개인적 맥락 중 하나만이 일차성을 부여받곤 했다. 그러나 두 재현의 방식이 만나 새로운 재현을 만들 때, 임상현장에서 한층 풍부한 의미의 치료와 돌봄이 가능해질 것이다. 서사의학이 임상에 제공하는 것은 이런 공동 창조의 가능성이자, 이전과 다른 환자-의료인의 에토스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co-creation of narrative’ in medical settings through Lee’s work “Double Writer Chorong.” In the work, Chorong's narrative demonstrates a situation of “wrong” encounter of dual representations of the same content, and this paper argues that this always have been repeated in how doctors and patients represent health and illness. Specifically, medical professionals objectify and standardize illness through scientific, biomedical approaches, while patients understand their illness based on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and emotional meanings. These two narrative forms reveal the gap between clinical diagnosis and patient experience, and the challenge lies in how to bridge this gap. In the medical context, while the biomedical model has shown excellent utility in disease diagnosis and treatment thus far, it has been criticized for alienating patients’ person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On the other hand, while patient narratives richly reveal the intimate meanings of suffering, they have limitations in conveying clear information required in medical communication. Ultimately, the key issue is not about determining which side holds the truth, but about creating a space for co-creation by acknowledging the complementary value of both narratives. Through a narrative medicine approach,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o-creation of narratives can function as a methodology for combining clinical practice and patient experience. While patients and medical professionals have always produced narratives together, either pathophysiological information or personal context has typically been given primacy in this process. However, when the two modes of representation meet to create a new representation, richer meanings of treatment and care become possible in the clinical setting. What narrative medicine offers to clinical practice is this possibility of co-creation between patient-clinician.

1. 서론
2. 본론
3.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