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6
216.73.216.166
close menu
KCI 후보
이사의 비밀유지의무에 대한 소고 - 미국과의 비교 -
A Study on Directors' Duty of Confidentiality
김한가희 ( Kim Hangahee )
변호사 57권 137-168(32pages)

이사의 비밀유지의무가 2001년 상법 개정안에 포함되어 상법 제382조의4로 신설된 지도 20여 년이 지났다. 그러나 도입 당시 해외 입법례를 참고한 규정은 아니었으며, 미국에서도 이사의 비밀유지의무는 현재까지 명문으로도 판례법상으로도 정립된 의무는 아니다. 국내에서도 이사의 비밀유지의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문한 상황이다. 국내의 판결들을 살펴본 결과, 이사의 비밀유지의무를 위반하는 자는 대부분이 사내이사로 사외이사가 위반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또한, 국내의 판결의 사실관계를 통해 사외이사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선별적 정보로 사내이사들이 접근할 수 있는 정보와는 차이가 있는 상황이라는 점이 확인이 되기에 사외이사는 처음부터 비밀유지의무의 ‘비밀’을 알기 어려운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사례들을 살펴보면, 미국의 이사들은 이사회 내 절차에 문제가 있거나 의견불일치 등이 발생하면 외부에의 공표를 하면서 사임을 하는 경우도 있었고, SEC에제출하는 공시 서식 8-K에 이사가 의견불일치로 사임하는 경우 세부 사항을 기업에서 이를 기재하게 되면서 이사회 내 문제점을 외부의 제3자들이 확인할 수 있는 구조가 섬세하게 갖추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사외이사들은 애초 비밀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고, 비밀을 유출할 유인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사의 비밀유지의무를 철저히 지키는 까닭에 현재까지도 기업의 이사회의 안건 찬성률이 90%를 상회하여도, 이사회 안건이 이 사회내에서 심도 있는 토의를 거쳤는지 의문이 드는 상황에서도 외부에서는 이사회 내의문제를 확인하기 어렵다.

It has been over 20 years since the duty of confidentiality for directors was included in the 2001 amendment to the Commercial Act and established as Article 382-4. However, this provision was not based on foreign legislative examples at the time of its introduction, and even in the United States, the duty of confidentiality for directors is not yet established either statutorily or in case law. In Korea, research on directors' duty of confidentiality is also nearly non-existent. Examining domestic court decisions reveals that those who violate the duty of confidentiality are mostly internal directors, with cases involving external directors being rare. Moreover, the facts of domestic cases confirm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to external directors is selective, differing from what internal directors can access, indicating that external directors are structurally unlikely to know the ‘secrets’ subject to the duty of confidentiality from the outset. Looking at U.S. cases, directors sometimes resign and make public statements when there are procedural issues or disagreements within the board. The SEC's Form 8-K requires companies to disclose details when a director resigns due to disagreements, allowing third parties to identify issues within the board, demonstrating a sophisticated system for external oversight. Consequently, while external directors in Korea lack access to secrets and have no incentive to disclose them, they strictly adhere to the duty of confidentiality. As a result, even though the approval rate for board agendas exceeds 90%, and there are questions about whether board items undergo in-depth discussions, it remains difficult for outsiders to identify problems within the board.

Ⅰ. 서론
Ⅱ. 국내법상 이사의 비밀유지의무
Ⅲ. 미국법 상 이사의 비밀유지의무
Ⅳ. 국내에의 시사점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