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ASD와 Non-ASD 영유아 간 K-CBCL 조절곤란 프로파일, 발달수준, 자폐증상, 사회성숙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각 집단의 조절곤란 프로파일, 발달수준, 자폐증상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2015년에 임상적 진단을 받은 18-65개월 영유아 244명이었다. 이를 대상으로 한국판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1.5-5), 한국판 Bayley 영유아발달검사Ⅱ(K-BSID-Ⅱ),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 사회성숙도 검사(SM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on-ASD보다 ASD의 조절곤란 프로파일, 자폐증상이 유의하게 높았고 인지발달수준, 사회성숙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ASD에서 조절곤란 프로파일, 발달수준, 자폐증상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였고, 사회성숙도에 대한 영향력은 동작발달수준, 자폐증상 순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Non-ASD에서 조절곤란 프로파일, 발달수준, 자폐증상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였고,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폐증상, 동작발달수준, 조절곤란 프로파일 순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ASD와 Non-ASD 영유아 집단 간K-CBCL 조절곤란 프로파일, 발달수준, 자폐증상, 사회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각 집단 내에서 사회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K-CBCL dysregulation profiles, development level, autistic symptoms, and social maturity between ASD and Non-ASD. The study also sought to verify the influence of each group's dysregulation profile, development level, and autistic symptoms on social maturity. The participants were 244 infants and toddlers aged from 18 to 65 months. In terms of our results, first, the dysregulation profile and autistic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SD group,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and social maturit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n-ASD group. Second,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social maturity in the ASD infant and toddler group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approximately 31.3%. Third,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social maturity in Non-ASD infant and toddler group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found to be 27.1%.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ver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ASD and Non-ASD. Additionally, it also revealed factors affecting social maturity in the two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