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적대적 반항장애와 품행장애의K-CBCL 6-18 조절곤란 프로파일과 문제행동, 심리사회적 적응 능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DP수준에 따른 문제행동, 심리사회적 적응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적대적 반항장애24명과 품행장애 55명으로 총 79명의 아동·청소년이었다. 사용된 척도는 K-CBCL 6-18, 자아존중감척도(SES), 사회적지지 척도, 사회적 역량 척도, 행복도 척도, 학교 만족도 척도, 문제해결 대처 능력척도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BCL-DP와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DSM 진단척도, 문제행동 특수척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또한, CBCL-DP와 심리사회적 적응 능력에서는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행복도, 학교 만족도의 부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둘째, DP 집단이Non-DP 집단보다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DSM 진단척도, 문제행동 특수척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DP 집단이 Non-DP 집단보다 사회성,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행복도, 학교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적대적 반항장애와 품행장애 아동·청소년의 DP 집단이 Non-DP집단보다 다양한 문제행동이 더 심각하고, 심리사회적 적응 능력 중 관계 문제와 관련된 사회성,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행복도, 학교 만족도가 더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behavioral problems and psychosocial adaptation based on the level of the K-CBCL 6-18 DP of ODD and CD from child and adolescents in child foster care. The participants were 24 children and adolescents diagnosed with ODD, and 55 children and adolescents diagnosed with CD. K-CBCL 6-18, SES, social support scale, social competency scale, happiness scale, school satisfaction scale, and problem-solving coping ability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BCL-DP and Syndrome Scales, DSM-Oriented Scales, Problem Behavior Special Scales were significant. Second, the negative correlations with CBCL-DP and self-esteem, social support, happiness, and schoo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Second, the DP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yndrome Scales, DSM-Oriented Scales, Problem Behavior Special Scales than the Non-DP group. Third, the DP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Sociality, self-esteem, social support, happiness, and school satisfaction than the Non-DP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behavioral problems and psychosocial adaptation differ according to CBCL-DP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