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에 의해 조절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oderated b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임가은 ( Lim Gaeun ) , 채은영 ( Chae Eun-young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에 의해 조절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재학 중인 대학생 213명을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해 분석하고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를 활용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분석하고 각 단계에서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 인지적 정서조절, 사회불안, 무조건적 자기수용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에 의해 조절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증상을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에서도 적응적인 전략의 사용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13 university students from across the countr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oderated b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effects of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on social anxie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sequentially using Process Macro. At each step, the significance was tested by means of bootstrapp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ocial anxiety,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moderated b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social anxiety was fou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s important in mitigating and preventing social anxiety symptoms in university students, and that increasing level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ay also be effectiv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