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계선 지능을 가진 청소년과의 심리상담에서 상담자의 경험을 탐색하여 경계선 지능을 가진 청소년과의 심리상담에서 효과적인 개입 방법과 지원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청소년과의 상담 경험이 있는 상담자 12명을 4집단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면담 전사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3범주, 13하위영역, 52개념이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경계선지능 청소년과의 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인 심리상담 전략’, ‘상담효과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이다. 둘째, 각 범주에 따라 총 13개의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경계선 지능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 ‘익숙한 심리상담적 개입의 한계로 인한 어려움’, ‘부모상담의 어려움’, ‘제도적 지원의 부재로 인한 어려움’, ‘체계적 평가에 기초한 명확한 사례개념화와 개별화된 목표설정’, ‘정서적 기반 및 내적 자원 강화를 위한 개입’, ‘경계선지능 청소년의 인지 수준을 고려한 개입’, ‘사회적 기술 및 적응력 향상을 위한 개입’, ‘학습 및 진로 탐색 지원’, ‘부모의 자녀에 대한 이해 증진을 목표로 한 부모상담’, ‘상담자의역할’, ‘경계선 지능 청소년 내담자의 특수성을 반영한 심리상담 지원 체계 구축’, ‘체계적 지원기반 구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이러한 상담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계선 지능을 가진 청소년과의 심리상담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개입 및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unselors' experiences in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and to identify effective intervention and support strategies in these contexts. Twelve experienced counselo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FGIs), organized into four groups.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main categories: ‘challenges experienced in counseling adolescents with BIF’, ‘integrated counseling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adaptability of adolescents with BIF’, and ‘support strategies for enhancing counseling effectiveness’. Within these categories, thirteen subcategories emerg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adolescents with B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