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 임상 사례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학령 전 영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서울·경기지역 아동 임상 전문가 7명으로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에 따른 주제분석과 질적 자료를 수량화시켜 분석할 수 있는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 변화에 있어 ‘전반적 언어발달 지연’, ‘표현 언어발달 지연과 부조화’,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의 발달 부조화’, ‘읽기와 쓰기의 어려움’, ‘상호작용의 질 저하’와 ‘임상 장면에서 재활·상담의 효과’의 여섯 가지 주제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지발달 변화는 ‘지능과 부조화된 행동 양상’, ‘상위 인지기능의 미숙’, ‘기초학력 저하에 따른 어려움’, ‘사회 인지능력의미발달’과 ‘디지털 매체 활용의 역기능’의 다섯 가지 주제로 분류되었다. 셋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아동 임상 전문가의 임상 사례를 통해 인식된 언어 및 인지 발달 변화의 영향요인은 ‘코로나19 관련 건강과 안전’, ‘가족배경’, ‘부모역할 및 양육태도’, ‘아동 개인 특성’, ‘보육 및 교육환경’, ‘디지털 매체’와 ‘악순환 구조’ 등의 일곱 가지 주제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 임상 장면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언어 및 인지발달에 취약성을 보인 아동과 그 부모를 위한 다각적인 개입 방안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es of preschool children and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clinical cases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seven child clinical experts from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grounded in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as well as content analysis, which quantified the qualitative d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anges in language development were categorized into six themes: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delay,’ ‘discrepancy and delay in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discrepancy between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decreased quality of interaction,’ and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and counseling in clinical settings.’ Second, changes in cognitive development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discrepancy between intelligence and behavior,’ ‘immaturity of higher cognitive functions,’ ‘difficulties due to a decline in basic academic skills,’ ‘underdeveloped social cognitive abilities,’ and ‘negative effects of digital media use.’ Third, factors affecting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as perceived through the clinical cases of child expert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hemes: ‘COVID-19-related health and safety,’ ‘family background,’ ‘parental roles and parenting attitudes,’ ‘child‘s individual characteristics,’ ‘childca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digital media,’ and ‘vicious cycl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preparing multifacet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are vulnerable in terms of both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due to the pandemic, especially in clinica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