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58개국의 2006-2023년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세계경제포럼의 성 격차 지수를 포함하여 실증 분석한다. 기존 연구에서 합계출산율이 빈번하게 쓰여 왔으나, 출산 연령의 지연 등 출산 패턴이 바뀌는 상황에서는 적합한 지표가 아닐 수 있다는 문제의식으로 조출생률을 사용한다. 또한 조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적 동질적인 국가 집단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World Bank의 소득별 국가분류를 이용한다. 분석 결과, 성 격차 지수의 세부 지표 중 경제적 성 평등이 공통적으로 유의하나, 국가 분류에 따라 그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고소득 국가에서는 U자형, 중위소득 국가에서는 우상향하는 선형관계, 저소득 국가에서는 역U자형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국가별 특징에 맞는 정책 시행과 함께, 성 평등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추가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crude fertility rate using panel data from 2006-2023 for 158 countries, including the World Economic Forum's Gender Gap Index. While total fertility rate is commonly used in previous studies, we use crude fertility rate due to the problem that it may not be a suitable indicator in situations where fertility patterns are shifting, such as delaying the age of childbearing. We also use the World Bank's classification of countries by income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crude fertility rate for a relatively homogeneous group of countries. The results show that economic gender equality is commonly significan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Gender Gap Index, but its impact varies by country classification. We found a U-shaped relationship in high-income countries, a linear upward trend in middle-income countries, and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in low-income countries. This suggests that additional policy efforts are needed beyond a certain level of gender equality, in addition to implementing policies tailored to country-specific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