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비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와 가족센터를 이용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비다문화가정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에 모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사회적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surveying and analyzing 300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who use middle and high schools and family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first, the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all sub-factors of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measures to improve the level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adolescen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