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입술 색조 제품 사용 후 나타나는 요플레 현상을 정량화하기 위한 비 인체 적용 시험법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요플레 현상이라는 용어는 입술 색조 화장품을 사용 직후 입술에 하얀 잔여물이 생기는 현상에서 유래하였다. 해외에서는 “lip tint buildup”또는 “white ring”이라고 표현되나, 이는 모두 공식 용어는 아니다. 이 현상은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기에 제형 개선을 위한 정량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 시험 참여 대상자가 제품을 사용한 뒤 입술에 나타난 요플레 현상은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실험 대상자 간 현상의 정도가 상이하며, 입술이 맞닿는 부위에 발생하기에 이미지 분석으로 정량이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요플레 현상 원인이 재유화라는 가정하에 일부 제형이 증류수나 인공 타액과 반응하여 색상이 변함을 발견하였다. 이후 제형 색상의 변화는 색상(Hue) 값을 통해 분석되었고 요플레 현상(%)을 도출하였으며 설문 조사를 통해 실제 사용 경험과의 경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요플레 현상을 정량화하기 위한 비 인체 적용 시험법을 처음으로 고안했으며, 이후 제형 개선과 소비자 클레임 극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a in vitro application test method to quantify the Yoplait phenomenon that appears after using lip makeup products. The term “Yoplait phenomenon” is derived from a phenomenon in which white residue occurs on the lips immediately after using lip makeup. It is also expressed as “lip tint buildup” or “white ring” overseas, but all of these are not a official term. Since this can be unpleasant for consumers, developing test methods to quantify the phenomenon is necessary. However, the degree of Yoplait on the lips of test subjects after using the product varies between test subjects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and it cannot be quantified by image analysis because it occurs in the area where the lips meet. This study found that some formulations reacted with distilled water or artificial saliva and changed color, assuming that the cause of Yoplait was re-emulsification. The changes in formulation color were then analyzed through Hue values and Yoplait phenomenon (%) was derived, and trends were compared to real-world experience through a survey. This study is the first to devise a non-human application test method to quantify the Yoplait phenomenon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ormulation improvement and overcoming consumer clai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