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한 산림의 연간 고사량 추정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stimator of Annual Mortality from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South Korea
임종수 ( Jongsu Yim ) , 이선정 ( Sunjeong Lee ) , 이민우 ( Minwoo Lee )
DOI 10.70044/KSFMI.2024.14.2.1.7
UCI I410-151-25-02-092042904

고사목은 산림생태계에서 주변 입목간의 경쟁 및 다양한 자연적 요인에 발생하게 된다. 고사목은 경제적 측면에서 이용가능한 자원의 손실을 의미하므로 산림에서 고사량의 발생특성을 규명하여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단위의 고사목에 관한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된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roy, NFI)부터 고정표본점을 활용한 고사목의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고정표본점에서 수집된 고사목 자료를 활용하여 연간 고사량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최근 5년간 부후등급 1등급으로 조사된 고사목을 신규로 고사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 표본점 대비 부후등급 1등급이 출현한 표본점 개소수의 비율과 부후등급 1등급의 고사량을 활용하여 연간 고사량을 분석한 결과, 2020년 기준의 ha당 연간 고사량은 0.19 ㎥/ha/년으로 전차기(0.22 ㎥/ha/년)보다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2020년 기준의 연간 고사량은 1,139 천㎥이며, 연간 고사율은 0.11%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임령의 증가는 입목간 경쟁이 심화되어 고사량이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소폭 감소하였는데 표본의 오차 및 표본의 대표성과 우리나라의 산림특성을 고려한 고사목 발생원인에 관한 시계열 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Deadwood in forest ecosystems arises due to competition among standing trees and various natural factor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deadwood plays crucial roles, such as maintaining biodiversity and acting as a carbon reservoir. However,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it signifies a loss of usable resources. Therefore,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deadwood occurrence in forests is necessary to manage forest resources effectively. In South Korea, monitoring of deadwood at a national level began with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initiated in 2006, which applied a permanent sample plots (PSP). Therefore, recently deceased trees identified as decay class 1 over the last five years were assumed to have newly died. Using the ratio of sample plots with decay class 1 to the total number of sample plots surveyed, and the volume of trees in decay class 1, the annual mortalit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s of 2020, the annual mortality per hectare was 0.19 m³/ha/year, a decrease from the previous period (0.22 m³/ha/year). The total annual mortality in 2020 was analyzed to be 1.1 Mm³, with an annual mortality rate of 0.11%. In general, an increase in stand age tends to intensify competition among trees, resulting in a trend of increasing mortality rate. However, this study observed a slight decrease. This indicate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potential sampling errors,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for deadwood, and a time-series analysis of the causes of deadwood occurrence,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s in South Korea.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