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디지털기반 건강지원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홈 계획
Smart Home Planning with digital-based Health Support System
정경숙 ( Chong Kyongsuk )
UCI I410-151-25-02-09203723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스마트홈 기술과 이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미래 주거의 역할과 기능도 변화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장치를 활용한 스마트홈은 거주자의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건강, 교육, 가사, 육아, 재택근무 등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주거 공간에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 지원형 스마트홈을 계획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통해 일상에서 생성되는 건강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를 진단과 처방에 활용하며, 지속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스마트홈 공간에 적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스마트홈에 디지털 기반 건강지원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본 연구는 다음의 네 단계를 수행하였다. 첫째, 가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질병의 원인과 진단 기준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 및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주거 공간 내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원격진료와 원격의료 기술 및 서비스를 검토하였다. 셋째,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해야 할 분야와 방법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지원하는 스마트홈 기술과 서비스의 구체적 내용도 살펴보았다. 넷째,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홈 공간, 특히 욕실과 침실에 적용 가능한 건강지원 시스템의 구체적인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목표로 스마트홈 환경에 적용 가능한 건강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욕실과 침실 공간에 제안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헬스케어 패러다임은 질병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그 핵심 공간이 병원에서 주거로 이동하고 있다. 스마트홈에서 일상적인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건강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관리하는 서비스가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원격진료 및 원격의료를 지원하는 스마트홈 솔루션과 건강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 시스템은 건강의 각 단계를 고려하여 거주자, 스마트홈, 의료진 간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진단과 처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러한 건강지원 시스템을 실제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침실 및 욕실의 구체적인 계획안을 마련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홈이 건강 지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주거에서 질병을 파악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스마트홈과 건강의 연계성을 이해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와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기초 연구로서의 의의를 제공하였다. 향후에는 스마트홈의 건강지원 기능이 현실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다학제간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며, 데이터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와 같은 사회적 과제도 함께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홈의 구현을 통해 더욱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role and function of future housing have evolved along with advancements in smart home technology. Future smart homes will utilize IoT devices to collect big data, enabling smart management in areas such as health, education, housework, childcare, and remote work.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mart home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at can prevent diseases and promote health within the home. We plan to develop a health support system that can collect daily health information through the IoT system, analyze it to diagnose, prescribe, and manage a healthy life continuously, and intend to implement it at home. (Method) A four-stage study was conducted. First, we identified the causes and diagnostic criteria for major household diseases and identified ways to manage and prevent them. Second, we examined technologies that could provide telemedicine with medical services at home. Third, we identified the types of health data that must be collected, the health fields and methods that must be managed, and the smart home technologies and devices required. Fourth, we proposed a smart home plan for the bathroom and bedroom so that the smart home health-support system could be applied to the home.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a health support system that integrates disease diagnosis, treatment methods, and health management technologies, showcasing its application in smart bathrooms and bedroom desig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uture healthcare paradigm is changing from disease treatment to prevention, and the subject is moving from the hospital to home. Daily health management services that collect daily health information in smart homes, analyze it, and manage users’ lifestyle patterns in a desirable manner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Second, a smart home health support system that treats diseases and promotes health is proposed. A smart-home solution that can provide remote medical treatment in conjunction with hospitals, identify diseases, and manage health is proposed. Moreover, the process by which health data and prescriptions are generated and responded to by residents, smart homes, and medical staff according to the health stage is presented. Third, a bedroom and bathroom plan is outlined, reflecting the health support system presented above.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 system for implementing diseas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to create a smart home that supports health. Although health and disease encompass a broad scope, this study focuses on initiating a detailed exploration of health-supportive smart home systems.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smart homes, setting the stage for future advancements in smart home healthcare solutions.

1. 서론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3. 디지털기반 스마트홈 건강지원 시스템
4. 건강지원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홈 계획
5.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