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십세기청년여자창가』(1921)를 ‘음악’ 교육적 시사보다는 ‘여성교육’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근대 시기 여성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문명의 소리’ 또는 ‘개화의 소리’로 인식되는 창가는 한국 근대를 사유하고 통찰할 수 있는 저장소로서, 근대사회로 나아가려는 열망을 표출하고 새 시대의 의식 및 규범 등을 강화하고자 하는 음악의 실용적 가치가 우선시된 장르라 할 수 있다. 3·1운동 이후 1920년대는 식민지 조선에 교육열이 높아지고, 사회 지도자로서 청년의 책임을 일깨우고자 했던 청년 담론이 성행하며,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여성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논하는 여성 담론 또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한편 여성용 교육 자료의 출판이 드물었던 상황에서 청년여자/신여자를 대상으로 교육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교육 교재 역할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것이 『이십세기청년여자창가』라 할 수 있다. ‘노래’라는 형태를 통해 ‘여자’를 근대사회의 일원으로 호명하는 『이십세기청년여자창가』는 전통과 근대를 분리하고 위계화하는 관점을 유지하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합의된 근대적 여성상을 주입하고(남녀동등과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가족 관계 내의‘현모양처’라는 제한적 여성상만을 이상화한다), 청년여자/신여자가 경계해야 할 것을 반복적으로 단속하는 동시에 ‘열녀효부’와 같은 유교 전통의 가치를 재생산하였다. 이는 해당 창가집뿐만 아니라 근대 시기 여성용 교육 교재를 통해 드러나는, 지적 권위를 가진 남성 지식인들이 그들의 기준으로 여성의 사회적 가치를 조망하고 젠더 질서를 확립하는 방식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angga for Young Women of Twentieth Century (1921)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female identity by conceptualizing music as a form of women’s education during the Modern period. Changga, recognized as either a civilized or enlightened sound, serves as a reservoir that enables us to speculate on and comprehend Korean modernity. In this context, Changga is a musical genre with practical purpose to articulate aspirations for modern society and reinforce the thoughts and norms of the new era. Following the 3·1 Movement in the 1920s, there was not only the intensified fervor for education, but also an increased discourses among youths regarding their responsibilities as social leaders, as well as among women concerning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female education, as reflect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Despite the scarcity of recourses for female education, the publication of Changga for Young Women of Twentieth Century reflects its role as educational materials that offer specific action plans for young women/new woman. Granting women with a sense of belonging in modern society. Changga for Young Women of Twentieth Century separated tradition from modernity and stratified them with hierarchy through the form of song. It constructs a socially consensual image of modern women, idealizing the roles of the wise mother and the good wife within the family, while simultaneously emphasizing gender equality and the importance of women’s education. In other words, Changga for Young Women of Twentieth Century consistently censored the behaviors to which young women/new women should be vigilant, while simultaneously perpetuating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including the notions of the virtuous woman and daughter. Not only does this song book but also educational materials for women, demonstrate how men possessing intellectual authority have historically overlooked the social values of women, utilizing their standards to establish a gendered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