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네포엠을 활용한 영화치료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과 실용화 방법론을 탐색한다. 우선 시네포엠에 대한 개념과 영화사적 흐름과 주요 작품들을 선별해 보고자 한다. 시네포엠은 영화사에서 전통적인 극영화 영역에서 벗어나 에세이 다큐멘터리나 아방가르드 영화, 실험영화 등에서 창작되어 온 영화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영상시라고 번역될 수 있는 개인적인 영화 창작의 분야로, 서사성 보다 감성과 감각이 중요시 된다. 극영화가 문학으로 비유하자면 소설에 가깝다면, 시네포엠은 시에 가깝다.
영화치료는 예술치료의 한 방법론으로 비교적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분야다. 예술치료는 1차 세계대전 후 전쟁의 후유증으로 심리적 치유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미술치료, 음악치료, 연극치료, 문학치료가 중요한 치료 방법론으로 연구되었고, 사진치료와 영화치료는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갖고 1980년대 이후 연구되기 시작했다. 초기의 영화치료는 영화 작품을 감상하며, 그 서사성과 인물의 감성을 상담자의 상담 담론으로 이용하거나 대화의 매개로 사용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그렇지만 미술치료나 연극치료 같은 예술치료는 창작 활동을 통해 예술의 치유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영화치료에서도 사적인 체험을 영상으로 만드는 창작 치료 활동이 영화치료의 주요한 방법론으로 주목 받게 되었다.
시네포엠은 전문적인 촬영이나 편집 기술 혹은 연출자나 연기자의 도움 없이도 상담자 스스로 스마트폰이나 간단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쉽게 영상 이미지 촬영하고 동시에 사운드를 녹음하여 마치 사적 다큐멘터리나 아방가르드 영화를 개인 창작물로 만드는 것처럼 자신의 경험이나 감정을 영화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네포엠은 단편 극영화를 만드는 것보다도 더 쉽게 효과적으로 영화치료의 창작 치료 방법론으로 쓰일 수 있다. 이 연구는 시네포엠의 정의나 역사적 트랜드, 주요 작품을 논하는 것을 넘어서 시네포엠이 갖고 있는 개인성과 감수성, 심리성의 특징들이 어떻게 영화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에 대한 연구를 한다. 이미 미국이나 영국, 유럽에서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다루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basic theories and practical methodologies of cinema therapy using Cine-poem. First, we will select concepts and major works of cine-poem and examine the historical flow of cinema. Cine-poem can be said to be a film form created in personal documentaries, avant-garde films, experimental films, etc., away from the traditional narrative film area in the history of cinema. It is a field of personal film creation that can be translated as visual poetry, where emotions and senses are emphasized rather than narrative. If narrative films are compared to novels in literature, cine-poems are closer to poetry.
Cinema therapy is a relatively recent area of study as a methodology of art therapy. Art therapy was conducted for patients who needed psychological healing due to the aftermath of World War I, and art therapy, music therapy, drama therapy, and literary therapy were studied as important therapeutic methodologies, and photo therapy and cinema therapy have relatively short histories and began to be studied since the 1980s. Early cinema therapy began with the use of the narra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film works as a counseling discourse or conversation medium for counselors. However, since art therapies such as art therapy and drama therapy have seen healing effects through creative activities, creative therapeutic activities that create personal experiences into videos have become a major methodology of cinema therapy.
Cine-poem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counselors to easily shoot video images and record sound simultaneously with smartphones or simple digital cameras without professional cinematography, editing skills, or the help of directors or actors, making their own experiences or emotions into films as if creating essay documentaries or avant-garde films. Therefore, cine-poem can be used more easily and effectively as a creative therapeutic methodology for film therapy than making short narrative films. This study goes beyond discussing the definition, historical trends, and major works of cine-poem, and studi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ity, sensitivity, and psychology of cine-poem can be applied to cinema therapy. There are already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Europe, which we will also co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