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나 신문의 본문 조판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한글 바탕체, 돋움체, 제목체’에서, 한글 글자체 표준 본그림(원도)에 관한 국가 표준이 발표된지 33년이나 지났는데, 아직도 한글 글자 모양이 국가의 표준 글자본 규정을 지키지 않고, 표준과 다르게 활자(폰트)를 디자인한 것이 쉽게 발견된다. 본 연구로, 그들이 국가규정을 지키지 않은 이유를 찾아내었다. 폰트디자이너들이 글자본 규정을 따르지 않은 것이 아니라, 국가 표준 규정이 있다는 것을 몰랐기 때문이었다.
금속활자나 도자기활자 같은 ‘아날로그 활자’나 손전화용 활자나 컴퓨터용 활자 같은 ‘디지털 활자’의 원도를 제작할 때는, 국가 표준인 ‘한글 글자본 제정 기준’을 먼저 익혀야 한다. 책의 본문 용도로 사용되는 활자의 글자꼴 원도를 디자이너 개인 마음대로 디자인하면 안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연구를 수행해보니, 한글 디자이너들에게 ‘한글 글자본 제정 기준’을 지킬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Hangeul Body text type, Gothic and Title type', in the text of books and newspapers, which are widely used for typesetting, the researchers found out the reason why, even 33 years after the ‘National standard for the standardized pattern of Hangeul fonts’ was published, the shape of Hangeul letters still does not follow the national standardized font regulations, and fonts designed incorrectly and differently from the standard were found. Why didn’t they obey National standard font rules? It's not that they didn't, it's that they couldn't. It was because font designers didn't know there was a National standard font regulations.
When designing analog typefaces, such as metal type or ceramic type, or digital typefaces, such as mobile phone font or computer font, it is necessary to familiarize yourself with National standard, the 'Standardized pattern of Hangeul fonts'.
Keeping in mind that designers should not design fonts for the main text of a book according to their own personal preferences. It was concluded that designers need to be trained to follow the 'Korean Font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