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핀테크 기업과 전통 금융기관 간의 금융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동일 기능, 동일 리스크, 동일 규제” 원칙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규제의 형평성을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 상업은행은 핀테크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전문은행보다 높은 신용리스크, 시장리스크, 운영리스크를 보여, 모든 핵심 금융 리스크가 상업은행에서 높게 나타났다. 비핵심 금융 리스크 중 유동성 리스크, 평판 리스크, 법률 리스크, 그리고 시스템 리스크 역시 상업은행이 인터넷전문은행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집중 리스크의 경우, 인터넷전문은행이 상업은행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금융기관에 일괄적으로 동일한 규제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음을 시사하며, 핀테크 기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규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핀테크와 전통 금융기관 간의 규제 형평성 논쟁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정책 입안자들이 보다 균형 잡힌 규제 체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quantitatively compares and analyzes the financial risks between fintech companies and tradi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ame function, same risk, same regulation” principle and to discuss regulatory equity.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jor commercial banks exhibit higher credit risk, market risk, and operational risk compared to internet-only banks based on fintech, indicating that all key financial risks are more pronounced in commercial banks. Additionally, among non-core financial risks, liquidity risk, reputation risk, legal risk, and systemic risk were also found to be higher in commercial banks than in internet-only banks. However, in the case of concentration risk, internet-only banks showed higher levels than commercial bank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uniform regulations to all financial institutions and highlight the necessity for differentiated regulatory approache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intech companies. This research provides clear evidence for the regulatory equity debate between fintech and tradi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could contribute to policymakers in establishing a more balanced regulatory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