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명리학에 기반하는 성명학의 학술성을 고양하고자 철학관 작명소, 작명 앱 등에서 성행하는 주요 작명이론에 대한 검증과 비판을 통해 속설에 대한 대안을 학문적으로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중의 일반인 구독용 작명 서적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학술적 작명의 현황을 파악하여 명리학에 기초한 용신성명학의 관점에서 대안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내용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서(韻書)류에 기초하여 성명3자의 초성배열과 상생, 상극을 사용하는 한글작명은 세종 『훈민정음해례』의 자·모음 오행과 명리학 용신을 반영하는 작명으로 전환해야 한다. 둘째, 한자 획수에 의한 음양과 오행배정은 학술성이 없으니 폐지해야 하고 자원(字源)의 본질에 의한 배속으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일본식 81 수에 의한 4 격 수리는 좋은 이름 판별의 기준이 될 수 없다. 넷째, 불용문자론은 폐지함이 타당하며 사주용신의 오행성이 강한 자원의 한자로 작명해야 한다. 다섯째, 성격성명학은 학술적 보완과제가 다양하니 지속적 연구를 통해 학술성을 구비해야 한다. 여섯째, 명리학에 정통하지 못한 학습자는 용신성명학적 작명을 시행하면 안된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작명현장의 주요 이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를 통해 학술성 있는 성명이론의 실용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연구의의가 있다. 추후, 작명현장에서 학술성이 미비한 현행 이론이 학문에 논거를 둔 이론으로 대체될 수 있도록 제도권 학계의 지속적인 연구와 계몽이 필요하다.
In order to enhance academic features of the naming theory based on Myeongri Science, it aims to seek alternatives of popular beliefs of the main naming theories that prevail in philosophy halls, naming centers, and naming apps academically through verification and criticism.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alitative research that presents alternatives and direction of the contents of the naming books for the general public’s subscription in the market from the viewpoint of applicable spirit nameology based on Myeongri Science by reviewing them critically and grasping the status of unacademic naming. The summary of the conten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n naming which uses syllable onset assignment, mutual production, and mutual destruction of 3 letters of a full name based on a Chinese pronunciation books should be changed to naming which reflects consonant and vowel five elements of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by Sejong the Great and Myeongri Science applicable spirits. Second, assignment of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by the number of strokes of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abolished because it does not have any academic feature and should be changed to assignment by the nature of resources (字源). Third, 4 Gyeok Suri by Japanese-style 81 calculations cannot be criteria for distingushing good names. Fourth, it is reasonable to abolish the theory of disused characters and naming should be done with Chinese characters of resources which have strong characteristics of five elements of four pillars and applicable spirits. Fifth, character nameology should have academic feature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ecause there are various academic tasks. Sixth, the learn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Myeongri Science should not do naming of applicable spirit nameology. The study has significance of research which can contribute to raising awareness of academic features of naemology by emphasizing that academic review through criticism and suggestion of alternative the main theories of the naming field. In the future, continuous research and enlightenment of the institutional academic circles are required so that the current theories with imperfect academic features can yield to theories based o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