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습자의 관점에서 초급 단계의 어법 항목에 대한 난이도와 실용도 두 가지 요인의 인식 정도 즉 학습자가 느끼는 각 어법 항목에 대한 난이도와 실용도 점수를 측정하고 두 요인 간 관계를 상호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9월부터 12월까지 중국어 초급 회화 원격 강의를 수강한 2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시 다루었던 총 40개의 초급 어법 항목에 대해 각각의 난이도와 실용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SPSS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난이도 및 실용도 측정 및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관점을 반영한 초급 단계 어법 항목 선정 및 배열 그리고 교수법 등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연구결과 40개 어법 항목의 난이도와 실용도 점수를 도출하였고 중국어 수준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별로 각 난이도와 실용도 점수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두 가지 기준을 근거로 초급 어법 항목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1순위는 교육중점 어법 항목으로, 2순위는 훈련 위주 어법 항목, 3순위는 설명 위주 어법 항목 마지막 4순위는 후순위 배치 고려 항목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순위 영역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measured the difficulty and practicality of two factors, namely the difficulty and practicality of the beginner-level grammar item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learning Chinese, the difficulty and practicality scores for each grammar item felt by learn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48 students who took a distance lecture on beginner conversation in Chinese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3, asking about the difficulty and practicality of each of the 40 beginner grammar items covered in class. Difficulty and practicality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depth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on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educational application plans such as selecting and arranging beginner-level grammar items and teaching methods that reflect the learner’s perspective were considered. The difficulty and practicality scores of 40 grammar item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difficulty and practicality score were analyzed by Chinese level and preference for online classes. Finally, the priorities of beginner grammar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wo criteria. The first priority was classified into educationfocused grammar items, the second was classified as training-oriented grammar items, and the third was classified as explanation-oriented grammar items, and the last four was classified as subordinate placement considerations, suggesting educational measures to be focused on in each ranking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