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의료급여 사례관리 개입 효과와 남아있는 과제: 주제범위 문헌고찰
Effectiveness and Remaining Challenges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s for Medical Aid in Korea: A Scoping Review
송경신 ( Kyung Shin Song ) , 이은정 ( Eun Jung Lee ) , 심유빈 ( Youbeen Shim ) , 이준협 ( Jun Hyup Lee )
UCI I410-151-25-02-091908298

연구목적 : 의료급여 사례관리는 의료급여 관리 방안의 하나로 대상자의 의료서비스 이용과 비용을 줄이고 자가관리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수행되는 개입이다. 본 연구는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사례관리 연구를 고찰하여 개입 효과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고 제시된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Arksey와 O'Malley의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관련 문헌 식별을 위한 국내 전자 학술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과학기술정보원(Science On),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 국회전자도서관(dl.nanet.go.kr) 검색엔진을 사용하였으며, 검색어는 “의료급여” AND “사례관리”였다. 국외 전자 학술데이터베이스는 PubMed와 Web of Science였으며, 검색어는 “Medical Aid” AND “case management” AND “Korea”였다. 검색 기간은 의료급여 사례관리가 시작된 2003년부터 2024년까지로 제한하였다. 연구 선택에 대한 적격심사 : 의료급여 사례관리 시작 이후 출간된 연구의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 개입, 개입 효과, 대상자 특성, 문제점, 제안점을 포함한 연구를 모두 검토하였다. 이후 사례관리 효과에 대한 검토를 위해 사례관리 개입이 환자의 행태나 의료 이용 및 의료 비용에 미친 영향이 보고된 문헌만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 의료급여 사례관리와 연관된 46건의 학술문헌과 학위논문이 포함되었다. 사례관리 개입에 대한 효과 평가에는 15건의 문헌이 포함되었다. 선택된 문헌들의 출판연도, 연구 방법, 연구 자료, 연구 대상자, 연구의 중심 내용, 개입 종류, 개입 효과, 문제점, 제안점을 정리하였다. 결론 : 효과적 사례관리를 위해서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질병 중증도, 연령,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들은 사례관리 목표 및 수급자의 특성과 요구에 따른 개입 방법, 개입 기간 및 빈도를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단기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정신질환자와 같은 수급권자를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사례관리를 위해서는 의료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review research on case management interventions targeting Medical Aid beneficiaries, investigate the evidence of their effectiveness, identify reported issue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Methods :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using the Arksey and O'Malley’s framework. Literature was retrieved from Korean (RISS, KISS, DBpia, Science On, NAL), and the search terms used were “Medical Aid” AND “case management”. The international databases were PubMed and Web of Science, and the search terms were “Medical Aid” AND “case management” AND “Korea”. The search period was limited from 2003 to 2024. Eligibility Criteria : We reviewed all studies involving case management for Medical Aid beneficiaries, including types of interventions, intervention effects, beneficiary characteristics, issues, and suggestions. For the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only studies reporting the impact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s on patient behaviors, medical utilization, and medical costs were included. Results : A total of 46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on Medical Aid case management were included in the review. Of these, 15 studies specifically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s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ir research methods, study population, types of interventions, intervention outcomes, data sources,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Conclusion : Effective case management requires tailoring to the severity of illness, ag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Studies highlight the need to adjust intervention methods, duration, and frequency based on case management goals and beneficiary needs. Long-term strategies are essential for beneficiaries, such as mental health patients, who don’t show immediate effects. Success hinges on collaboration with healthcare providers, community integration, and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care system, particularly for mental health pati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이해상충
ORCID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