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 밭토양은 부산시의 평균 pH인 인공 산성우(pH=5.34) 조건에서 실험되어졌다. 그리고 산성토양 중화능을 확인하기 위해 토양산도, CEC(양이온 치환능력)와 K, Ca, Na와 같은 알칼리 금속에 대해 분석하였다. 굴 껍질은 치환성 양이온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산성 토양 개선제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고 하수슬러지의 토양 첨가는 슬러지 처분의 대체 방안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수슬러지 및 굴껍질의 적정처리방법으로 산성토양에 주입시 그 개선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토양과 하수슬러지의 비율을 각각 10:0, 9:1, 8:2, 7:3으로 한것과 토양 : 하수슬러지와 굴껍질 혼합물의 비율을 각각 9:1, 8:2, 7:3으로 한것을 대상토양에 첨가하였다. 실험 결과, 토양산도는 약간 감소하였고 CEC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알칼리 금속의 경우는 실험기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되어져 토양산도, CEC와는 다른 농도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굴껍질이 혼합된 하수슬러지는 산성토양 개선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rm soil was tested under artificial acid rain(pH = 5.34), which is averse pH of Pusan metropolitan area. And 的 find out the soil's acid neuralization capacity, soil acidity, CEC(cation exchange capacity) and akaline meatals, such as K, Ca and Na were tested. Because oyster shells(OS) had large portion of alkaline metals, OS could play a role in acid soil amendment. And soil addition of sewage treatment sludge(STS) could be a alternative for disposal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dd soil amendment using STS and OS. In case of soil and STS, mixing ratio was 10:0,9:1,8:2 and 7:3. And STS mixed OS was also added in add soil as same ratio as STS. Throught the experiment, soil acidity was stationary state with slight decrease, and CEC was also stationary state but with slight increase. Alkaline metals showed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but all of them were tend to decrease. In conclusion, STS mixed OS could play a part in amendment of add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