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미생물인 Ralstonia eutropha JMP134는 세균의 염색체상의 페놀분해경로를 통하여 삼염화에틸렌 (TCE)을 분해하는 특징이 있다. 이전의 실험에서 본 세균으로부터 분리된 페놀분해효소가 단독으로 삼염화에틸렌을 분해하는 것을 밝힌바 있다. 본 실험에서는 페놀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유전자를 유전자 재조합방법을 통하여 plasmid에 cloning한 유전자 재조합세균 R. eutropha AEK301을 대상으로 TCE의 분해능을 실험하였다. AEK301 은 페놀에 의한 유도작용 없이도 여러 유기물의 존재하에서 TCE를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세균은 0.05%의 에탄올이 유일한 탄소원으로 제공된 배양액에서 TCE의 농도 200μM 까지 거의 분해하였으며 농도 400μM에서는 약 70%까지 제거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The strain Ralstonia eutropha JMP134 (formerly Alcaligenes eutrophus JMP134) can degrade trichloroethylene (TCE) through a chromosomal phenol-dependent pathway. The phenol hydroxylase was previously found to be a single responsible enzyme for TEC degradation. Here, we demonstrate that a recombinant bacterium, R. eutropha AEK301, one of 7n5-induced mutants of JMP 134 containing a recombinant plasmid pYK3011, degrades TCE in the absence of inducer, phenol and in the presence of various carbon sources. Complete removal of TCE (50μM) was observed in minimal medium containing only 0.05% ethanol as a carbon source within 24 hours. The bacterium removed 200μM of TCE to below detectable level within two days under nonselective pressure. When TC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up to 400μM, the degradation had been continued until two days, then ceased with removal of 70% of detectable T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