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변토 처리의 기계화 및 자동화 공정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 침출액을 이용한 지렁이 퇴비화 지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회분식 및 연속식 실험을 위하여 현장 하수 슬러지가 사용되었다. 슬러지 처리방법에 따른, 발생되는 침출수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는 거의 유사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산화환원전위, pH, 전기전도도, NH₃-N 항목에서는 퇴비화 전후,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지렁이 퇴비화 지표 설정에 가장 적합한 변수들은 ORP과 EC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실제적으로 분변토 처리가 이루어지는 지렁이 퇴비화 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work, the vermicomposting index was investigated using leakage water from sludge to develop the process of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in the earthworm-cast treatment. The in situ sewage sludge was used for batch and continuous experiments. Due to different treatment processes,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quid extracted from sludge was the similar change pattern. However, some items, such as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NH₃-N, showed the distinct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vermicomposting. Also, The ORP and EC were the best parameters for the vermicomposting index. These results offered that the present vermicomposting technology was an actual earthworm-cast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