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감각처리민감성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김영은 ( Kim Young-eun ) , 이소연 ( Lee So-yean )
DOI 10.17641/KAPT.27.4.1
UCI I410-151-25-02-091877038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감각처리민감성 총점 및 하위요인인 저감각역, 자극흥분, 심미적 민감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세부터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어머니 254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감각처리민감성 척도,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 단축형(K-PSI-4-SF), 사회적 지지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 관계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감각처리민감성 총점과 저감각역, 자극흥분 수준이 높으면 양육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심미적 민감성 수준이 높으면 양육스트레스가 낮았다. 둘째, 어머니의 감각처리민감성 총점과 하위요인 중 자극흥분과 심미적 민감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고 어머니의 감각처리민감성 총점과 자극흥분이 높은 경우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심미적 민감성이 높은 경우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감각처리민감성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하여 어머니의 감각처리민감성을 이해하고 양육스트레스 감소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s of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SPS) total score and its sub-factors Low Sensory Threshold(LST), Ease of Excitation(EOE), and Aesthetic Sensitivity(AES) on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schoolers. The Korean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Scale, the Korean Parenting Stress Inventory 4th Short Form (K-PSI-4-SF), and the Social Support Scale were administered to 254 mothers of children aged 1 to 6 years ol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mothers' SPS total score, LST, and EO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parenting stress, and higher levels of AES were associated with lower parenting stres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s of maternal SPS total score and its subfactors, EOE and AES, on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maternal social support and higher maternal SPS total score and EO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On the other hand, high AES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pecificall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PS and parenting stress, providing a basis for understanding mothers’ SPS and reducing parenting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